세계 유일 UN기념 묘지···평화·자유 지킨 숭고한 희생 기려

부산 UN기념공원 전경.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글 싣는 순서

1. 포항의 현충시설과 문제점

2. 칠곡·영천 ‘낙동강 호국평화벨트 조성사업’

3. 부산 UN기념공원과 문화시설의 조화

4. 미국 테네시주 내쉬빌

- 음악과 함께하는 전쟁 기념관 강당

유엔군 위령탑.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1950년 6월 25일 기습적인 북한군의 남침에 서울을 점령당한 한국군은 남으로 남으로 후퇴를 거듭했다.

파죽지세로 내려오는 북한군을 저지하고 반격의 교두보를 만든 곳은 낙동강 방어선이었다.

낙동강을 경계로 동쪽으로 넘어오는 적을 막고 칠곡 왜관을 중심으로 영천, 경주, 포항, 영덕에서 북쪽에서 쏟아져 오는 북한군의 공세를 막아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지금도 낙동강 방어선을 따라 이날의 흔적이 경북 곳곳에 산재해 있다.

‘화랑, 선비, 호국, 새마을 4대 정체성이 경북의 혼’이라는 김관용 경북도지자의 말처럼 전국 독립유공자 1만4천574명 가운데 경북지역 유공자가 2천125(14.6%)명이나 경북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지역이기도 하다.

그만큼 호국시설도 곳곳에 산재해 있지만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호국보훈의 행사에만 반짝하는 시설로 전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6.25 전쟁 당시 격전지 중 하나인 포항은 이후 해병대의 요람으로 거듭났지만 전쟁 추모 시설은 곳곳이 흩어진 데다 해병대 역사관마저 이들 추모시설과 단절돼 군사 호국 도시라는 아이템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경북일보는 4차례 보도하는 기획시리즈를 통해 포항을 비롯한 경북도의 호국시설을 점검하고 칠곡, 영천 등 각 지자체가 이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본다.

또 전쟁참전 역사를 세세히 남기고 이를 보존한 미국 테네시주 내쉬빌 시를 벤치마킹하고 부산 UN기념공원 활용도 확인한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안내를 따라 10여 명의 학생들이 UN기념공원이 유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 부산 UN기념공원

커다란 지붕 아래 하얀 기둥에 둘러 쌓인 입구에는 헌병 차림의 위병이 참배객을 반겼다.

입구를 지나치자 공원 곳곳에는 참배객들이 곳곳에 눈에 띄었고 문화관광해설사의 안내를 따라 10여 명의 학생들이 기념공원이 유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었다.

부산 유엔평화로 93에 위치한 유엔기념공원은 1951년 유엔군사령부에 의해 설치된 유엔전몰용사 2천300위의 영원한 안식처다.

자유와 평화를 위해 희생한 이들을 추모하기 위해 유엔과 한국은 이곳을 세계 유일의 유엔산하 기념묘지로 지정했다.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이 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 기증하고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고 그해 12월 15일 유엔총회에서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 관리토록 결의문 제 977호를 채택했다.

1959년 11월 6일 유엔과 대한민국과 ‘유엔기념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 간의 협정’이 체결하면서 매장된 전사자의 출신 국가 11개국이 관리위원회를 구성 관리하고 예산도 11개국이 분담해서 내고 있다.

또 2007년 10월 24일 문화재청은 14만4천902㎡ 면적의 재한유엔기념공원 일곽을 등록문화제 359호로 지정했다.
참배객들이 유엔군전몰장병추모명비를 둘러보고 있다.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기념공원을 따라 들어가면 처음 참배객을 맞이하는 주묘역은 영국, 터키, 캐나다, 호주 등 6.25 전쟁에 참전한 11개 국가 용사들의 묘가 국가별로 세워져 있었다.

죽음의 상징인 무덤을 멀리 두기 좋아했던 동양권과 다른 서양식 묘역으로 조성돼 한 번쯤 둘러 볼만한 장소로 교육의 장 뿐 아니라 관광명소로서 활용되고 있다.

적막하지만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잘 가꿔진 나무사이로 길을 걷다 보면 UN기념공원에 안장된 전사자 중 최연소자인 호주병사의 이름을 딴 도은트수로를 만난다.

그 뒤로도 유엔군전몰징병추모명비, 유엔군위령탑, 제2기념관 등이 이어졌다.

특히 삼면으로 이뤄진 유엔군 위령탑과 탑 속의 빈 공간에 세워진 제2기념관에는 참전국 기획전시를 하고 있었다.

위령탑 남쪽으로는 11계단의 수로인 무명용사의 길이 펼쳐진다.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11개국을 의미한 11개의 물 계단, 수로 위의 11개의 분수대, 수로 가에 늘어선 11그루의 소나무가 세워져 있다.

이 외에도 기념공원에는 1976년 태국정부의 기증으로 세워진 한국-태국 우정의 다리가 호수 속 섬으로 이어져 있었고 호수 주변에는 백조와 오리가 떼 지어 다니며 평화로운 모습을 보였다.

평화공원.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 대연수목전시원 & 평화공원

UN기념공원 남쪽 외각에는 대연수목전시원이 자리 잡아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공원 주차장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산책로 좌우로 침엽수원과 허브 동산, 무궁화원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사람들을 반겼다.

2002년 8월 학생이나 가족 단위 자연 체험이 가능하도록 새롭게 단장한 대연수목전시원의 총면적은 5만 3천492㎡로 UN 기념 공원을 50m 폭으로 감싸 안고 뒤편으로 평화 공원과도 연결됐다.

주요 시설로는 관리사 1동, 아열대 식물 체험관 1동, 유리 온실 1동이 있으며 유실수원, 오륙도원, 상록 활엽관목원, 상록 활엽수원, 죽립원, 낙엽 관목원, 낙엽 교목원 등 식물의 생태별로 약 600종의 수목이 종류별로 구획을 나눠 전시됐다.
UN기념공원 내 호수 오리가 햇살을 피해 나무그늘에서 쉬고 있다.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또 수목원 사이에 산책로가 있어 다양한 식물을 직접 눈으로 보고 즐길 수 있어 인근 주민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와 구경하는 관광명소다.

부산시 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에서 관리하는 전시원은 숲 유치원, 여름 방학 나무 교실 등의 프로그램도 운영해 연간 11만여 명에 이른다.

공원은 24시간 이용 가능하고, 온실 등은 오후 6시까지 이용부터 오후 3시까지는 신청을 통해 숲 해설가의 수목 해설이 가능하다.

또 전시원 남쪽에는 평화공원이 있어 시민들이 더위를 피하는 장소다.

총면적 3만2천893㎡인 평화공원은 입구에 들어서면 평화의 광장이 있으며 바닥 분수가 설치돼 있다.

수목전시원과 인접한 특성상 평화공원 주변은 나무그늘이 넓게 자리 잡아 나무 밑을 따라 텐트가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과거 고철 처리업, 자동차 정비업, 화물차 주차장, 화물 운송업 등 소음, 분진, 토양 오염을 유발하는 혐오 산업 51개 업체가 난립해 도시 미관을 저해하던 장소였지만 UN 기념 공원과 연계해 2004년 6월 평화 공원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 2005년 4월에 착공해 개장했다.

UN조각공원에 전시된 작품명 ‘꿈꾸는 의자’.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 부산 역사와 문화의 중심지

UN기념공원 북쪽으로 부산문화회관, 부산박물관, 유엔조각공원이 자리 잡고 있다.

수준 높은 문화 공연을 선사하기 위한 문화 휴식 공간인 부산 문화 회관은 시민과 소통하고 감동과 환희를 전하는 예술의 창작 공간이다.

1983년 10월에 기공해 1988년 9월 3일 대극장, 대전시실로 개관했으며 크게 공연장, 전시실, 국제 회의장 그리고 야외무대로 구성됐다.

주요 사업은 문화 예술 진흥 사업으로 문화 예술 발표 공간 제공, 문화 예술 활동을 위한 전시 공간 제공, 문화 예술 공연 및 전시 작품 감상 공간 제공이며 그 외 공공 또는 공익 행사의 편의 제공과 부산시립예술단 운영 등이 있다.

현재 오페라, 뮤지컬, 오케스트라, 무용, 국악 등 다양한 공연이 진행되고 있으며 1992년 2월부터 토요일 오후 5시 30분에 토요 상설 무대가 소극장에서 펼쳐지고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대형 공연과 부산 문화 회관 산하 부산예술단이 속해 있어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길 건너 위치한 부산박물관은 구석기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지역에서 출토된 고고유물들을 중심으로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

1만1천300점에 이르는 소장 유물은 주로 부산 및 경남도 덕천동·노포동 고분군, 김해읍성 유적 등지에서 발굴한 매장문화재 6천여 점을 비롯해 구입품 730여 점, 기증품 3천870여 점, 수집품 350여 점 등이다.

전시실에는 부산지역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이래의 각종 유물 560여 점이 전시됐고 외부의 야외전시장에는 탑·불상·비석 등 50여 점의 석조품이 전시돼 있다.
11개의 물 계단, 수로 위 11개의 분수대, 수로 가에 늘어선 11그루의 소나무로 이뤄진 무명용사의 길. 김재원 기자 jwkim@kyongbuk.com
UN 기념공원 동문 밖에는 세계평화와 자유의 상징이 되는 국제적 관광명소로 가꾸기 위해 유엔조각공원이 한국전쟁 50주년 특별기획 유엔기념공원 국제조각 심포지엄에 참여한 6.25참전 21개국의 조각가들이 제작한 34점의 조각품을 기증받아 조성됐다.

전체 1만5천458㎡ 면적에 300㎡의 중앙광장, 3천968㎡의 잔디광장, 500m의 산책로 등을 갖춰 인근 주민과 UN 공원을 찾는 어르신들의 놀이터로 각광 받으면서 호국 시설인 UN 기념 공원은 유엔 조각 공원을 비롯한 평화 공원, 대연수목전시원 그리고 부산박물관, 부산문화회관 등 부산 최고의 문화 관광 벨트와 연계를 자랑한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