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과 대구 군 공항(k2) 통합 이전이 지진 부진하고 추진 전망이 보이지 않아 안개 대책이라는 지적이다.

대구시가 지난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 난 영남권 신공항 용역에 대한 검증 결과를 당초보다 10개월이나 늦은 최근에서야 발표한 것에 대해서도 설왕설래가 많다. 상당한 비용을 들여 검증한 용역은 시의 적절해야 하는데도 철 지난 뒤에 발표해 효용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대구시는 “김해공항 확장안이 영남권 항공수요를 충분히 반영할 ‘제2 관문공항 역할’을 수행하기 힘들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4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공항 전문가에 의뢰한 검증용역 결과, 김해공항 확장 땐 2050년 영남권 전체 항공수요 4천만 명 중 연간 3천15만~3천518만 명 만 수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활주로와 터미널을 분리 운영하면 김해공항이 연간 3천8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고 밝힌 것에 비하면 300만~800만 명이 모자란 수치다.

김해공항은 활주로, 접근성, 소음 등도 문제다. 특히 활주로의 경우 중장거리에 취항하는 E급 대형 항공기는 이착륙 때 중량 제한 때문에 노선운영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개선 효과도 미흡하다. 국토부 계획대로 교통망이 구축돼도 대구·경북에서 김해공항까지의 단축시간은 도로는 고작 1분, 철도는 22분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1시간 이내 접근이 불가능하다. 소음권역은 3배가량 확대(16→42㎢)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마디로 김해공항 확장으론 영남권 5개 시·도민이 염원한 제2 관문공항 노릇하기가 한계가 있다. 김해공항이 수용 못 하는 300만~800만 명은 어느 공항을 이용해야 하느냐는 문제가 남는다. 1천만 명 규모를 수용하는 대구통항공항이 필요한 이유다. 지금 대구 포항 구미 등 경북권의 항공물류 기능은 동맥경화 상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대구통합공항은 김해공항과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건설돼야 한다.

지난해 7월 1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대구의 군 및 민간 공항을 통합이전을 지시하고 국방부가 지난해 8월 18일 대구 군공항(k2) 이전 건의서에 대한 평가 결과 ‘적정’ 판정을 내렸다. 대구공항과 대구 군 공항(k2) 통합 이전이 대구시에서 지금까지 어물쩍거리다가 세월만 갔다. 당시 국방부와 대구시 경북도 등이 신속하게 추진했더라면 부지 윤곽이 벌써 나왔을 것이다. 수십 년 묵은 대구 군공항(k2) 통합 이전이라는 숙원사업이 국방부의 적정하다는 결론에도 추진 못 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대구에선 대구공항 존치 및 K2와 별도 이전, 대구공항 국비 확보 등을 둘러싸고 방향조차 제대로 잡지 못했다. 이제라도 대구시가 중심을 잡아야 한다. 대구시는 통합공항 이전에 과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