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분야 23개 과제로

지난해 발생한 9·12지진 이후 지진재해에 대한 국내원전의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립한 ‘대형지진에 대비한 원자력시설 안전 개선대책’이 오는 2021년까지 모두 완료될 예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4일 제73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개최해 지난해 9.12지진 이후 극한 지진재해에 대한 국내원전의 대응능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수립한 ‘대형지진에 대비한 원자력시설 안전 개선대책’의 추진현황을 보고했다.

‘대형지진에 대비한 원자력시설 안전 개선대책’은 총 6개 분야 23개 과제로, 이중 9개 과제는 조치 완료됐으며 14개는 정상추진 중으로 오는 2021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이가운데 지진계측기 성능검사 및 신규제품 교체, 지진발생시 원안위 보고(30분내) 및 수동정지 결정시간(4→2시간)단축, 지진 직후 60분 이내 대국민 공개 등의 지진대응시스템은 개선이 완료됐다.

또한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의 지진대응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1단계 동굴처분시설 내진성능 재확인, 2단계 표층처분 안전시설 내진성능(0.2→0.3g) 상향, 처분시설 부지 지진계측기 추가설치 등은 현재 진행중이다.

특히 원안위는 9.12지진의 원인단층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단층의 특성을 규명키 위해 2021년까지 총 250억 원이 투자되는 연구개발 과제를 올해 4월 착수했다.

원안위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최대잠재지진 및 내진설계 기준 재평가를 실시해 원전의 내진설계기준 상향조정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재 진행 중인 국내 원전의 안전정지유지계통 내진보강 (0.2g→0.3g)과 노형별 대표원전(고리3, 월성3, 한울3)의 핵심기능에 대한 내진성능 정밀평가와 관련, 가동원전 24기 중 21기에 대해 내진보강을 완료해 규제기관이 적절성을 검토 중이며, 나머지 3기(고리2, 한울1·2)는 내년 6월까지 완료 예정이다.

또한 원안위의 적절성 검토와는 별도로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내진검증 특별위원회’에서 독립적으로 재점검을 진행해 필요시 내진보강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편 원안위는 ‘개선대책 추진상황 점검반’을 구성-운영해 주기적으로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현장점검체계를 강화하는 등 23개 과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