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제571돌 한글날을 맞았지만, 한글과 외래어의 오남용 등이 난무하고 있다. 공공기관조차 외래어 남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에 대한 푸대접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경상북도 내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외래어 사용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자치 단체에 서 라디엔티어링, 팸투어, 고수부지, 익일 등의 외래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역 축제나 행상에서 ‘사랑의 맛데이’, ‘1박 2일 힐링 부자캠프’ 등 문법에 맞지 않는 한글과 외래어를 혼용해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평소 생활에서 언어습관이나 심지어 관공서 용어까지 한글날을 무색게 할 정도이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행사명에 한글 대신 굳이 외래어를 사용하는 배경에는 과도한 홍보 경쟁에 대한 압박감 때문이기도 하다. 문법보다는 최신 유행에 맞춰 이름을 짓는 일이 빈번하다.

한글의 아름다움으로 수놓아진 옷들은 인쇄·의류 등 세계 문화계에서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한글이 푸대접을 받고 있다. 이제 한글은 우리 민족의 말과 얼을 담는 도구인 문자에서 더 나아가 교육, 경제, 문화 등 각종 영역에서 새로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한 의미도 이 때문일 것이다.

한글날을 지내며 한글 파괴, 외래어 오남용 실태에 대한 개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민적 정서나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보는 방송 매체에서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우리말과 한글을 왜곡해서 사용하는 현실이다.

청소년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글을 누구보다 사랑해야 할 지방자치단체가 행정 용어에서부터 오히려 외래어를 남발해 눈살을 받고 있으니 더 말해 무엇하랴. 지방정부부터 정책과 추진 사업 명칭 등에 외래어를 남발하는 것을 자제할 때가 됐다고 본다.

독창적이고 자랑스러운 문화이자 자산인 한글을 비단 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하며 세계 속에 대한민국과 한글을 각인시킴과 동시에 우리의 새로운 경제력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한글은 세계에 존재하는 수천 개의 언어 중 몇 안 되는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다. 타 문명과 차별화된 우리 고유의 자산이 바로 한글이다.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등 지방자치단체부터 한글의 진정한 가치를 인정하고 활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