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경영연구원, 준비도 세계 25위···주요 선진국 대비 뒤처져
노동시장 유연성 분야 77위···첨단기술 인력 양성 등 제공해야

4차 산업시대를 맞아 전통적 노동환경과 일자리에 큰 변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한국은 4차 산업시대에 대한 준비가 선진국 대비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포스코경영연구원(POSRI) 전기용 수석연구원이 발표한 ‘기술혁신에 따른 일자리의 미래와 과제’이슈리포트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도 순위 비교’에 전세계 140여개국 중 25위(자료;WEF2015·2016, 산업은행 2017 재인용)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이 자료의 항목별 평가를 보면 한국은 △노동시장 유연성 77위 △교육 및 훈련시스템 25위 △혁신역량 및 활동성 20 △기술 활용 및 수용성 28위 △사회간접자본 10위 △법률시스템 치 윤리성 65위 등으로 사회 간접자본 부문만 10위권에 턱걸이 했다.

특히 노동시장 유연성 부문에서는 무려 77위로 떨어져 4차 산업시대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노동시장에서의 취약성을 그대로 드러냈다.

전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해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일자리의 경우 컴퓨터에 의한 고용 대체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 인간과의 소통 및 감정교류가 요구되는 직종은 고용 대체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관련 직종별로 살펴보면 판매종사자의 대체가능확률이 97.8%(자료: 김세움 ‘기술진보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와 대응’)에 달했으며, 장치 및 기계조작·조립종사자(80.6%), 사무종사자(73.1%)등의 고용대체 확률이 높았다.

반면 관리자는 대체가능 확률이 30.9%에 불과했으며,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역시 36.6%로 낮았다.

산업별로는 농·임업 및 어업분야 대체 가능확률이 98.0%에 달했으며, 전기·가스·수도사업(95.5%), 금융 및 보험업(87.8%)의 대체확률이 높은 반면 교육서비스업은 1.2%로 사실상 컴퓨터가 대체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연구원은 특히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정형화하기 쉬운 직무를 수행하는 중간층의 경우 저임금 서비스업으로 전직하거나 최악이 경우 영구적인 실업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4차산업시대 노동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대비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개인은 고용 대체 현상을 체감하고, 디지철 시대 기술변화와 새로운 노동형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기업은 고용구조 변화에 따른 첨단기술 인력 양성 및 재학습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정부는 플랫폼 시대의 새로운 고용형태 및 노동환경을 위한 법·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하며, 특히 기술 변화에 따른 노동 유연성 보완 및 양극화 완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