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설치하고 저출산 전담팀을 두기로 했다. 경상북도 등 지방의 인구증가 대책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경북도와 산하 시군에서는 그동안 인구 사수를 위한 정책을 시행해 왔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지방자치단체 저출산 극복 지원계획’은 새 정부의 인구정책 방향을 토대로 지자체 특성에 따른 인구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우수 지자체에는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뒀다. 지원계획은 지역 단위 사령탑 구축 지원, 지자체 저출산 전담팀 구축 조기 완료 및 내실화, 저출산 극복 선도 모델과 우수 시책 발굴·확산 , 중앙·지자체·민간 협력으로 지역사회 인식 개선, 지자체 저출산 대책 실효성 제고 등을 담고 있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행안부의 ‘지방자치단체 저출산 극복 지원계획’에 부응하는 정책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경북도는 최근 경북대 상주캠퍼스(옛 상주대)에서 가진 ‘인구감소지역 활성화 방안 대토론회’에서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지방의 인구감소를 지적했다. 결국, 인구 유입을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발제자로 나선 전남연구원 조상필 실장이 ‘인구감소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에 대해 발표에서다. 인구 유입 대책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30년 이내 경상북도 7개 시군이 ‘인구 소멸’ 지역이 될 것이라는 관급보고서가 나왔다. 거주인구가 한 명도 없어 인구가 소멸한다는 충격적인 전망이다. 경북도의 귀농 인구가 2013년 이후 계속해서 매년 3천500명을 늘어나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 전망이다. 귀농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2015년 경북 귀농 인구는 총 3천683명이고 귀촌 인구는 4만7894명이다.

공업화 시대 도시로 향하고 농촌을 떠나는 사대 농촌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었다. 도시로 몰려갔던 이농 인구가 공업화 시대가 한풀 꺾이면서 다시 농촌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늘어나면서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들 탈 도시인구들을 농촌으로 견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세밀하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원론적이지만 고령 인구 비율보다 유소년인구 비율을 높여야 한다. 농촌 지역의 소득·의료·교육·문화 등에 대한 투자 등 지방시대에 걸맞은 여건 확립이 보장돼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