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행 중 시동 꺼짐, 에어백 불량, 어린이 보호용 좌석 미고정, 연료 누유 등의 결함으로 리콜 명령을 받은 수입차 10대 중 3대가 안전 조치도 없이 도로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재원 의원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시정률은 2012년 87.3%, 2013년 93.7%에서 2014년 92.1%, 2015년 85.3%, 2016년 72.3%로 해마다 감소했다. 2017년 6월말까지 리콜명령을 받은 차량도 127만2천604대로 작년 한 해 동안 62만4천798대가 리콜 대상이었던 것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구체적으로는 안전기준부적합의 사유로 리콜된 경우는 2012년 94.9%였던 시정율이 2016년 65.2%로, 안전운행지장의 사유로 리콜된 경우는 2012년 86.75%에서 2016년 72.5%로 감소했다.

안전기준부적합이란 자동차부품이 자동차 또는 부품안전기준(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적합하지 아니한 경우를 의미하고, 안전운행지장은 그 외의 사유로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등의 결함이 있는 경우를 뜻한다.

2016년 리콜이 실시된 차량 중 포드 MKX의 경우 연료탱크 부식으로 연료가 새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유로 한 해에만 2월, 6월 두 번에 걸쳐 리콜이 실시되었지만 시정률은 각각 35%, 49%에 불과했다. BMW의 경우 730d, Gran Turismo 30d, X6 xDrive30d 등 거의 전 차종이 시동이 꺼질 우려가 있어 리콜이 시행되었지만 그 시정률은 50%미만에 그쳐 운전자를 비롯하여 도로 위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수입차의 경우 국산차보다 리콜 시정률이 떨어진다는 데에 있다. 2016년 리콜 대상 차량 중 국산차는 40만4천58대 중 29만9천401가 시정되어 지금까지 시정률이 74.1%인데 반해, 수입차의 경우는 22만540대 중 15만2천610대로 69.2%에 그친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수입차의 경우 고가차량이 많다보니 법인차량이나 장기렌트 차량이 많아 소유주 파악이 어렵고 정작 소유주들도 그 서비스센터가 많지 않아 어느 정도의 불편이나 위험은 감수하는 경향이 많아 시정률이 저조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10대 중 6대는 신호 대기 중 언제 차가 굴러갈지 모르는 위험천만한 상태인 것이다.

김정모 기자
김정모 기자 kjm@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으로 대통령실, 국회, 정당, 경제계, 중앙부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