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배근 동국대 경제학교수
우리가 사는 지금,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소득증대, 즉 먹고 사는 민생문제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경주경제는 원활한 순환이 멈춰진 동맥경화 상태로 아사 직전의 중환자나 다를 바 없다.

기업은 동력을 상실한 채 힘이 빠져있고, 방폐장과 한수원이 들어오면 경주로 많은 기업이 올 것을 기대했지만, 실망감만 늘었고 공장 가동률은 저조하고 공단분양은 부진하여 놀고 있는 땅이 널려있다.

그렇다면 지방정부라도 발 벗고 나서서 경제 회생을 위한 최소한의 역할이라도 해야 필요가 있다.

경주 인구는 날이 갈수록 줄어들어 30만 명에서 25만 명 선으로 내려앉았다.

인구 감소는 중요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시그널이다.

그런데 주말이면 경주에 축제행사가 자주 열려 축제 천국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경주 전역은 60~70년대식의 동네 체육대회와 공연행사가 자주 열리는 잔치판 때문에 주민들의 문제의식은 더 무디어져만 간다.

연일 열리는 축제행사지만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는 무관한 소비성 행사이고 전후방 연관 효과와도 관계가 없는 비생산적인 이벤트에 불과하다.

전국 어디를 다녀 봐도 경주만큼 발전이 안 된 곳을 찾기 힘들다.

문화재 보호법 때문에도 그렇겠지만 지나친 연고주의가 후진적 지역 정치를 만들고 이념적 정치지형을 만들어 경주를 이렇게 정체의 늪으로 빠지게 하였다.

경주지역은 자동차부품산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지역중소기업을 살리는 데 이들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경주지역의 중소기업을 강소기업, 히든 챔피언으로 만들어 세계적인 기업으로 나가도록 지원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주에는 무분별하게 들어선 공장들 때문에 효율적인 공단관리가 안 되고 있어 지역기업은 기업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경주시는 중소기업 실태 파악을 위한 기본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

체계적인 기업 및 공단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통해 인력, 자금, 물류, 마케팅 등의 체계적인 육성지원이 절실하다.

경주시는 기업유치로 지역경제를 살려야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로 지역에 인구가 유입되고 젊은이에게 희망의 땅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기업유치를 바라기 힘들며 경주는 젊은이가 없는 도시, 역동성이 없는 도시, 활력 없는 도시로 전락할 위기에 놓여 있다.

경제를 살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민간부문이 먼저 움직여서 활기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 민간소비는 바닥 수준으로 더 늘기는 힘들다.

그렇다고 기업의 투자를 기대해 보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여력이 없다.

이렇게 민간 부문이 자력으로 움직이기 어려우면 공공부문인 경주시가 마중물을 부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경제 회생과 부흥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이를 프로젝트화해서 중앙정부를 설득하여 예산을 받아 올 수 있는 방법은 있다.

경주가 살기 위해서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비전으로 경주시를 혁명적 수준으로 경영해 나가야 한다.

경주시가 경주의 경제 회생을 위한 경제정책을 새롭게 수립하고 시민의 힘을 모아 나갈 필요가 있다.

경주 산업경제의 부흥을 위해서는 전기차 부품산업의 육성과 4차산업 및 신재생융복합에너지클러스트의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성장의 발판을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