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생물 유입 감소·증식 실패 때문

해마다 수많은 양식 어패류를 떼죽음시켰던 유해성 적조가 올해는 발생하지 않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9일 바닷물 온도가 20℃ 아래로 낮아져 유해성 적조가 출현할 가능성이 사려졌다고 밝혔다.

1981년 남해안에서 최초로 유해성 적조에 의한 수산 피해가 발생한 이후 36년 만에 적조 없는 한해를 보내게 된 것이다.

수과원은 올해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원인을 적조 원인 생물 유입 감소와 증식 실패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유해성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은 주로 대마난류를 타고 먼 바다에서 연안으로 유입되는 데 올해는 대마난류 세력이 유례없이 강해 코클로디니움이 연안으로 떠내려오지 못하고 대한해협으로 빠져나가 연안에 분포하는 수가 비해 크게 줄었다.

게다가 코클로디니움이 급격히 성장하는 시기인 7월 초 늦은 장마로 연안에 비가 오면서 수온이 낮아져 플랑크톤 먹이를 경쟁하는 규조류 세력이 줄어들지 않아 제대로 활동하지 못해 적조 생물 숫자가 늘어나지 못했다.

특히 올해는 이례적인 고수온으로 양식 어패류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 있어 적조가 발생했더라면 유례없는 피해가 예상돼 관련 업계에서는 좀처럼 긴장의 끈을 늦추기 못했다.

수과원 관계자는 “고수온에 이어 적조까지 발생할까 걱정했지만 다행히 적조 출현 가능성이 사라졌지만 고수온 영향으로 인해 양식물고기 면역력이 감소해 무해성 적조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계속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적조 원인 생물에 대해 분석해 적조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