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진흙 분출구 30여개 확인"···지질자원연구원 "증거로 추정"

포항 지진(11월 15일) 진앙지인 흥해읍 용천리 현장에서 국내지진 관측 사상 처음으로 지진 흔들림으로 땅 아래 있던 흙탕물이 지표면 밖으로 솟아오른 ‘액상화 현상’이 긴 쪽 지름이 최대 10m인 모래·진흙 분출구(분화구 모양) 형태로 발견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 현장조사팀은 지표지질 조사를 통해 포항 일대에서 샌드 볼케이노(모래 분출구)와 머드 볼케이노(진흙 분출구) 30여 개를 확인했다.

대부분 진앙 인근에 있으나, 멀게는 칠포해수욕장까지 반경 약 5.5㎞ 안에서 관측됐다.

이 분출구는 타원형이나 긴 선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파악됐다.

긴 쪽 지름을 기준으로 크기는 대부분 ㎝급이다. 이 중에는 10m 안팎에 이를 정도로 큰 규모로 나타난 것도 있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연구원 측은 분출구가 액상화 현상의 증거 중 하나로 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일본 학계에서 나온 용어로 알려진 액상화 현상은 쉽게 말해 지반이 순간적으로 액체 상태처럼 변하는 것을 말한다.

토양과 물은 평소 퇴적층에 섞여 있다가 지진 같은 충격을 받으면서 흔들리면 분리된다는 뜻이다.

이때 물이 쏠린 지역은 땅이 물렁물렁해지거나 때론 지표면을 뚫고 흙탕물이 솟아오르기도 한다고 학계에선 설명한다.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물은 퇴적물보다 밀도가 낮은데, (외부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면) 위로 향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압력이 생기는데, 그 압력이 퇴적물 상부를 뚫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선 본부장은 “다만 액상화는 지진동 외에 퇴적물 입자크기, 불투수층 존재 여부, 물에 의한 포화 정도(지하수)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이 때문에 지질 분야 다방면의 전문가와 협력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정부 의뢰로 국내 활성단층 지도 제작 사업을 하는 부산대 손문 교수팀은 포항 진앙 주변 2㎞ 반경에 흙탕물이 분출된 흔적 100여 곳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교수팀은 “액상화가 발생하면 지표면 위 건물이 일시적으로 물 위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며 “기울어진 포항의 대성아파트처럼 많은 건물이 액상화 영향으로 피해를 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활성단층 조사를 하다가 지진이 발생해, 연구 분석작업을 하고 있다”며 “액상화 현상이 나타난 지역에서 건물을 지을 때 기초를 땅속 깊숙한 암반에 고정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실제 액상화 현상이 나타난 것인지 확인 하기 위해 땅을 파고 조사할 예정이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