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아파트→대동빌라·한동대→유니코정밀 특정 라인 따라 피해 몰려
국립재난안전연 "지진파 작용 방향 등 정밀한 조사·연구 필요" 강조

진원지45도.JPG
▲ 11·15 지진 피해지역 개념도
11·15지진의 발생 원인에 대한 논란에 이어 또 다른 지진 발생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포항지역 활성단층에 대한 조속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최근 한 인터뷰를 통해 지난해 발생한 경주지진에 이어 지난 15일 포항지역에서 또다시 강한 지진이 발생하면서 주변 지역 응력 환경이 더욱 복잡해졌다고 밝혔다.

홍 교수는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단층 방향을 따라 네 갈래로 땅 속 스트레스가 가중돼 왔으며, 이번 포항 지진으로 이런 지역이 확대돼 경주 북부지역과 영천·밀양·청송지역이 지진 우려 지대로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11·15지진이 발생한 단층이 당초 기상청에서는 양산단층에서 장사단층으로 밝혔지만 진앙지 주변에 흥해·곡강·형산단층 등 3개의 단층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기상청은 당초 11·15지진 진원지가 포항 북쪽 9㎞ 지점에서 남쪽으로 1㎞ 이상 내려오고, 발생깊이도 지표와 훨씬 가까운 것으로 수정하는 등 제대로 된 자료조차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진 진원지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데다 지진이 발생한 단층대에 대한 정확한 자료도 확보되지 않아 시민 불안을 가중 시키고 있다.

특히 11·15지진으로 인해 진원지를 중심으로 반경 10㎞ 내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가운데 진원지로부터 동남쪽 45도 방향의 구역에서 대형 피해가 잇따라 이들 지역에 대해 정밀한 조사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포항시에 집계된 피해를 살펴보면 재건축 결정이 내려진 흥해읍 대성아파트와 외벽이 무너져 내린 환여동 대동빌라를 잇는 선, 진원지인 용천리를 기점으로 공장피해가 발생한 흥해읍 용한리 영일만항 4산업단지를 잇는 선 사이의 특정 지역에서 큰 피해가 집중됐다.

이 두 개의 선은 진원지인 용천리에서 동남쪽 45도 가량으로 서로 평행한 채 강력한 피해구간을 형성하고 있어(사진참조), 지진 및 지질연구기관들이 보다 심도 있게 살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구간 내 북쪽에 위치한 한동대의 경우 교내에 많은 부속건물이 있지만 본관 등 앞서 지적한 피해 구간 내에 포함된 지역에서만 집중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그 방향 역시 동남쪽 45도 각을 이루고 있다.

한동대가 위치한 산자락에는 곳곳에서 땅이 갈라진 것이 확인돼 지진 발생 당시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졌는지 실감케 해 줬다.

또 장량동 크리스탈원룸의 경우도 1층 기둥이 비틀리면서 무너졌으며, 환여동 대동빌라 역시 외벽이 완전히 무너지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일만대로 중 피해가 발생한 곡강1·2교와 성곡 1교, 남송IC 역시 이 구간 내에 포함돼 있으며, 일부 전문가에 의해 11·15지진 원인으로 지목된 지열발전연구소, 기상청이 새로 수정한 진원지는 이 구간의 중심 부분에 위치해 있다.

지난 15일 지진 발생 당시 한동대 본관을 비롯한 교내 건물 상당수에서 외벽붕괴 등 피해를 입었다. 사진은 피해를 입은 한동대 건물앞 산이 갈라진 모습으로 지진 강도를 예측케 해준다.
이종욱기자 ljw714@kyongbuk.com
특히 이 지역 내에는 포항지역 최대 인구밀집지역인 장량동이 포함돼 있어 이미 강력한 힘에 의해 피해를 입은 상황에서 또 다른 힘이 가해질 경우 심각한 인적·물적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나타난 피해 상황들을 살펴보면 이 특정 구역이 이번 지진을 일으킨 단층대이거나 아니면 단층활동 시 보다 강력한 힘이 가해졌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부가 피해복구에 힘을 쏟는 것도 중요하지만 또 다른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포항 지역 단층에 대한 조사연구가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김윤태 방재실장은 “지진전문가가 아니어서 정확하게 말하기는 힘들지만 지진 피해의 경우 지진파가 어떻게 작용했는지, 어떤 방향에서 힘이 가해졌는지에 따라 규모가 달라진다”고 전제한 뒤 “피해가 특정 지역에 집중됐다면 정밀한 조사연구가 필요한 것은 맞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활성단층대 연구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올 7월부터 양산·울산단층대에 대한 조사에 들어간 상태다.

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보다 효과적인 지진 피해 대비를 위해 국내 지진지도 작성에 박차를 가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