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이 삼척시청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 중인 삼척 도계읍 흥전리 사지에서 지난 8월 한 변의 길이가 5.1㎝인 정사각형 청동인장 2점을 찾아냈다고 5일 전했다.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 나온 통일신라시대 청동인장. 아래 왼쪽이 ‘범웅관아지인’ 인장이다. 문화재청 제공=연합
‘석가모니 관아’ 통일신라 청동인장(靑銅印章) 2점이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절터서 출토돼 인장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문화재청은 삼척시청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가 발굴조사 중인 삼척 흥전리 사지(寺址)에서 지난 8월 한 변의 길이가 5.1㎝인 정사각형 청동인장 2점을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두 인장은 4호 건물지에 나란히 묻혀 있었고, 인장 한 점은 청동으로 만든 인장함에 보관된 상태였다. 흥전리 사지에서 청동인장이 출토되면서 이름을 알 수 없는 이 절의 위세가 매우 높았다는 사실이 또다시 규명됐다.

이번에 발견된 청동인장들은 끈을 매달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손잡이가 달렸고, 글자를 돋을새김한 점이 특징이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청동인장 중 한 점에 새겨진 글자를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으로 판독했다. 범웅은 ‘석가모니’, ‘부처’를 뜻한다. 따라서 ‘범웅관아지인’은 석가모니 관아, 즉 승관(僧官)의 도장이라는 의미다.

이 인장의 서체는 중국 당나라의 관청 도장인 관인(官印)에 많이 사용된 구첩전(九疊篆·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 형태로 평가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오늘날과 비교하면 ‘범웅관아지인’ 인장은 장관이나 청장의 인장이라고 할 수 있다”며 “‘범응관아’라는 명문은 문헌과 금석문을 통틀어 처음 확인된 용어인데,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과 국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인장은 경주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유물과 전체적인 형태, 손잡이 모양, 서체가 매우 유사하다”며 “인장함에 남아 있는 인주의 성분 분석 결과가 나오면 추가로 새로운 사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화재청이 삼척시청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 중인 삼척 도계읍 흥전리 사지에서 지난 8월 한 변의 길이가 5.1㎝인 정사각형 청동인장 2점을 찾아냈다고 5일 전했다.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 나온 통일신라시대 청동인장. 아래 왼쪽이 ‘범웅관아지인’ 인장이다. 문화재청 제공=연합
또 다른 인장에는 ‘만’(卍) 자처럼 획을 여러 번 구부린 추상적 무늬인 기하문(幾何文)이 새겨졌다.

청동인장은 인장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다. ‘삼국사기’와 ‘고려사’ 등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에 관인은 국가가 주조했고, 고려시대에도 국가가 지방 주군(州郡)의 승관인(僧官印)을 거둬들이는 등 관인을 직접 관리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는 강원도에서 처음으로 간장, 된장, 사찰 음식재료 등을 담은 커다란 항아리를 보관하는 창고인 장고(醬庫) 터도 확인됐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이 건물지에는 항아리 12개를 묻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같은 통일신라시대 건물지는 남원 실상사, 경주 황룡사지, 성건동 유적 등에서 나온 바 있다.

2014년부터 조사가 진행 중인 흥전리 사지는 산맥과 물길이 나뉘는 매봉산 자락에 있으며, 고려시대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신라시대에 국왕의 고문 역할을 한 승려를 지칭하는 ‘국통’(國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비문 조각, 화려한 장식의 금동번(깃발)이 출토됐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