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철강공단 중견 기업에 다니고 있는 한 청년은 문재인정권이 들어서면서 꿈에 부풀어 있었다. 지난해 계약직으로 12개월, 만 1년을 근무하고 올해 2월 10개월간의 재계약을 한 상태였던 이 청년은 문정부의 청년일자리 창출 올인 정책으로 올해 계약이 갱신돼 정직원이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 부풀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냉혹했다. 올 12월 말로 계약이 만료되지만 아직 회사에서 재계약이나 정규직 채용 등에 대해 아무런 통보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상 계약 연장이나 정규직 전환이 될 경우 2개월 전쯤에 통보를 하기 때문에 2년 가까이 일한 직장을 함께 입사한 동료 3명과 퇴사해야 할 지경이 돼 겨울 날씨보다 더 냉혹한 현실을 실감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청와대에 현황판을 내걸고 청년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쏟기로 했지만 현장은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청년실업은 나아지기는커녕 되레 악화일로다. 문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은 고용주의 입장에서는 신규 채용을 꺼리게 하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과속의 최저임금 인상은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이 급격히 불어나는 임금을 견디지 못할 것을 예견해 신규직원 채용을 포기하거나 아예 사업을 접게 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대기업 대형마트들에서도 아르바이트 사원 채용을 하지 않고 있다. 임금의 급격한 증가 우려로 새해부터 아르바이트생을 뽑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아르바이트 자리까지 없어지는 것은 물론 기존 직원들의 업무량이 늘어나 고용의 질까지 저하될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청와대가 4일 청년실업 선제 대응 대책회의를 가졌다고 한다. 문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였다. 이날 책상 앞에서 공공부문 채용 확대와 재정 조기집행, 부처별 일자리과제 추진 상황 주기적 점검 등 너무나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들을 내 놓았다. 더욱 기가 막힌 것은 ‘고용탑’을 신설해 일자리를 많이 늘린 기업에 상주겠다는 한심한 대책이었다.

청와대가 2년 이상 고용할 경우 정규직 직원으로 전환해야 하기 때문에 1년 10개월 일한 직장에서 청년들이 쫓겨나는 현장에서의 ‘청년 희망고문’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동욱 편집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