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아와지 대지진 겪은 일본 효고현의 지진방재 대책

효고현청 감재·방재 대책을 총괄하는 오쿠보 방재감(맨 오른쪽)이 6일 오후 효고현청을 방문한 경북일보 취재진과 김장주 경북도 행정부지사(왼쪽) 일행에게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을 겪은 이후 마련해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지진·재해 방재대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작년 9월 12일 경주 대지진 이후 경북도의 지진방재대책을 배우기 위해 올해 6월 일본 효고현을 찾았던 경북일보 순회취재팀이 6일 이곳을 다시 찾았다. 1995년 1월 17일 6천400여 명의 사망·행방불명자를 낳으며 도시를 폐허로 만든 규모 7.3의 강진을 극복한 일본 효고현의 방재·감재 대책을 총괄하는 오쿠보 방재감으로부터 규모 5.4의 지진이 다시 덮친 상황에서 경북도가 어떠한 지진방재 및 복구·재건대책을 세워야 하는지를 배우기 위해서다.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재해대책센터에서 만난 오쿠보 방재감은 “고베시 등 간사이 지방에서는 대규모 지진이 역사적으로 수백 년 전의 일이어서 대비하지 못했다.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작년 구마모토 지진이 바로 발생했다”면서 “경북도도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의 경험을 이해할 것이다. 역사 속에서 교훈을 얻어 반드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또 강조했다. 지진이 발생한 1월 17일을 ‘안전의 날’로 지정했고, 매달 17일을 방재활동의 날로 지정해 예방활동을 펴기도 한다. 11·15 강진을 겪은 포항시와 경북도가 새겨 들을 대목이다.

효고현 방재당국은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방재능력을 매우 중요시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무너진 가옥 등의 잔해 속에서 주민을 구조한 경우의 80%가 소방관이나 경찰관, 자위대가 아닌 주민들이 주인공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효고현의 민간자주조직 결성률은 96.3%로 전국 1위 수준에 올라 있다.

대지진 이후 구축한 ‘피닉스방제시스템’이라는 이름의 정보통신시스템 운영도 눈에 띄었다. 오쿠보 방재감은 “각종 재해 발생 때 구조 물자가 얼마나 필요한지부터 지진의 규모에 따라 예상되는 피해와 그에 따른 지원 물자의 양 추산이 가능하다. 효고현 주민들이 주고받는 SNS(트위트) 속 정보도 분석한다”며 “지진에서부터 태풍, 홍수까지 예측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각 지자체에 피난 대피 지시나 경보를 내리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효고현은 앞으로의 재해대책 키워드로 ‘민간의 활용’을 꼽았다. 지진 발생 이후 도로 등 수송라인 단절 때문에 구호물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피난소와 대피소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 마련인데, 민간택배업자와 트럭협회 등 전문가를 행정에 참여시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오쿠보 방재감은 짧지 않은 시간 내에 다가올 대형재난에 대비할 것도 주문했다.

그는 “도쿄에서 약 150㎞ 서쪽 태평양 연안의 시즈오카현에서 규슈 미야자키현 앞바다에 이르는 750㎞ 길이의 ‘난카이(南海) 해구’에서 쓰나미를 동반한 규모 9 이상의 지진이 30년 이내 발생할 확률이 70%라는 분석이 나와 지진대책과 더불어 쓰나미 대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난카이 대지진에 대비한 액션프로그램으로 방파제 중점 건설과 더불어 내진율을 82%에서 97%로 끌어올려 예측 사망자 2만9천여 명을 400여 명 수준으로 내리는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지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큰 한국도 반드시 대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효고현은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이재민생활재건지원법에 근거해 가옥이 전파돼 새로 지으면 최고 300만 엔, 반파는 200만 엔을 지급하고, 연간 5천 엔만 내면 주택이 전파될 경우 600만 엔을 지급하는 주택재건 공제제도도 운영한다.

효고현에서 순회취재팀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