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임산물 전략 분석···산양삼 가공제품 등 진출 유리·인지도 등 마케팅 지원 모색

사드(THAAD)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외교관계가 얼어붙었으나 최근 정부 간 협의를 통해 사드문제가 해결 국면에 접어들면서 양국의 교역에 훈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7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우리 임산물의 중국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동남아시아 미주지역 상품과의 차별화, 식품안전에 대한 신뢰도 확보와 함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분석에서 벗어나 수요자의 시각에서 우리 임산물의 수출전략을 찾기 위해 ‘중국 임산물 수입업자 심층조사’를 실시했다.

심층조사는 중국 북경, 상해, 심양의 수입·유통업자를 대상으로 면담 형태로 이뤄졌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수입 임산제품에 대한 취급 현황을 파악했다.

조사 결과, 중국 수입·유통업체들은 제품의 시장성,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마진율, 해외 박람회를 통한 상품 가능성 등을 따져 임산제품을 수입하고 있었다.

주요 수입국은 동남아시아, 미주 순이었으며 다음이 우리나라였다. 따라서 두 지역이 주력하는 임산제품을 파악 분석해 차별화된 틈새시장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원산지에 대한 신뢰도는 그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잦은 식품 안전사고로 인해 보다 안전하고 깨끗한 제품에 대한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우리나라 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가능하다.

아울러, 중국은 제품의 시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제품을 보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해외 박람회의 참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업체들은 향후 제품에 적합한 해외 박람회를 선정해 꾸준히 참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수입·유통업체가 취급하고 있는 제품 중 가장 인기 있는 우리나라 제품으로는 유자차, 김 등이며, 인삼제품도 인기가 있었다.

따라서 임산물 중 산양삼을 활용한 가공식품으로 중국 진출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건강보조식품의 경우는 검역이 까다로우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제품 형태별로는 개별포장 된 완제품으로 수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원료 형태의 수입, 단순 포장제품 형태로 수입 등의 순으로 나타나 저장과 유통에 편리한 형태를 선호하고 있었다.

다양한 가공제품의 개발을 통해 중국 현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유통 및 저장에 편의성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 됐다.

설문에 응답한 전체 60개 업체 중 우리나라 임산제품의 취급경험이 있는 경우가 34개 업체였고, 우리나라 임산 제품을 취급하지 않는 이유로 제품에 대한 정보 부족, 적절한 판매처 확보의 어려움, 제품이 다양하지 않은 것 등을 꼽았다.

김은희 국제산림연구과 연구사는 “중국 현지 수입업체들의 대부분이 우리나라 임산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우리 식품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국내산 청정 임산물의 인지도를 확보하는 마케팅을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진한 기자
권진한 기자 jinhan@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