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 벗 삼아 ‘학’ 자식삼아 자연과 하나되어 유유자적

매학정은 조선 초중기 4대 명필 중 한 사람인 황기로가 주인이다.
매학정은 구미시 고아면 예성리 보천탄 언덕 위에 있다. 북쪽으로는 고산이 병풍처럼 막아서고 남 동 서쪽으로 3면으로 강이 한눈에 들어오는 절경지다. 매학정 이름 그대로 입구에 매화 7그루가 서 있으나 꽃을 피우려면 이 추위가 물러갈 쯤까지 기다려야 한다. 보천탄에는 학이 없다. 물오리 떼가 학이 있던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1533년(조선시대 중종 28년)에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1521-1575 이후)가 조부의 뜻에 따라 정자를 지었다. 정자 앞마당에는 매화나무를 심고 학을 길렀다고 한다. 그리며 14세에 사마시에 합격하는 뛰어난 재능을 지녔으나 평생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매학정에서 술과 그림을 그리며 은둔의 삶을 살았다. 정자 뒤의 언덕을 고산이라 부르고 정자를 매학정 이라 이름하여 그의 호를 고산과 매학정으로 삼았다. 중국 서호 고산에서 매화를 심고 학을 키운 북송의 은둔시인 임포의 삶을 동경해서 지었다. 임포는 결혼도 하지 않고 혼자 살면서 매화와 학을 길렀다. ‘매화는 아내요 학은 자식’이라며 평생을 은둔했다. 매학정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폐허가 됐으나 1654년(효종 5년)에 다시 지었고1862년(철종 13년)에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됐다가 1970년에도 크게 보수를 했다.

매학정은 조선 초중기 4대 명필 중 한 사람인 황기로가 주인이다.
황기로는 조선 초기와 중기를 통털어 4대 명필로 꼽힌다. 안평대군 이용, 자암 김구, 봉래 양사언, 고산 황기로이다. 황기로는 초서가 뛰어나 중국 한나라의 장지와 당나라의 장욱과 어깨를 겨룰 정도라고 해 초성(草聖)이라 불렸다. 황기로는 정자 앞마당에 매화를 심고 보천탄 강물을 유유히 날아 다니는 학을 보며 초서에 몰입했다. ‘광초(狂草)’로 불렸던 장욱의 거칠고 호방한 필획을 베이스로 받아들였다. 장욱은 술을 좋아하여 대취한 상태에서 미친 듯이 돌아다니다가 머리에 먹을 묻혀 휘갈겨 장전이라고도 했다. 황기로는 장욱의 필획에다 소회의 가늘고 유려한 운필을 섞었다. 또 명대에 초서로 이름을 떨쳤던 장필의 변형된 획법을 더해 자신만의 독자적인 서풍을 이루었다.


점획을 과감하게 생략한 감필법(減筆法), 획간의 공간을 좁거나 짧게 처리한 속도감 있는 운필, 중록으로 쓴 맑고 깨끗한 선질은 장필의 초서풍과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들이다. 황기로의 초서풍은 16ㆍ17세기에 걸쳐 폭넓게 유행했다. 16세기에 그의 초서풍을 따른 대표적 서예가는 이우이다. 이이의 동생이며 황기로의 사위였던 그는 황기로에게서 매학정을 포함한 모든 유품을 물려받았다. 황기로의 글씨를 직접 전수받았음은 물론이다. 이밖에 선조때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가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오운 서일 황기로가 주로 활동했던 안동을 포함한 인근 지역에서 그의 서풍을 계승한 대표적 서예가이다.

매화와 학을 기르며 은둔의 삶을 살겠다는 뜻이다.
황기로의 초서는 보물 제 1625호로 지정된 ‘차운시’를 비롯하여 소수서원 경렴정 편액,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산도첩’등이 있다. 금오산 바위에 새겨진 ‘금오동학’ 산 정상 군부대 안에 있는 후망대 음각글씨도 황기로가 썼다. 미수 허목은 “신라부터 1000년 가까이 내려오는 동안 글씨로 후세에 이름난 사람으로는 학사 최치원, 김생, 탄연, 시중 이군해 안평대군 근세의 양사언 황기로 한호 백광훈 등을 들 수 있다”고 극찬했다.


소수서원 입구에 있는 ‘경렴정’ 현판을 쓸 때의 일화가 있다. 황기로는 스승 이황으로부터 경렴정 현판 글씨를 써달라는 부탁을 받는다.이황 자신은 해서로, 황기로는 초서로 글씨를 써서 걸어두겠다는 것이다. 스승이 지켜보는 앞에서 손이 떨려 도저히 글을 쓸 수가 없었다. 이를 눈치 챈 이황이 자리를 비켜주자 일필휘지로 현판 글씨를 써나갔다.


황기로는 이이와 사돈을 맺었다. 이이의 동생 이우와 황기로의 딸이 혼인을 맺었던 것이다. 여기도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1558년, 23살의 이이는 당시 성주목사이던 노경린의 딸과 결혼한 뒤 6개월 동안 처가에서 살았다. 6개월이 지나자 그는 강릉에 있는 외할머니를 보러가게 됐다. 가는 길에 이황을 만나 가르침을 얻을 작정이다. 이에 앞서 구미에 있는 황기로를 만나러 매학정으로 갔다. 이이의 천재성을 알아본 황기로는 이이를 붙잡고 밤 늦도록 술을 마셨다. 황기로는 이이의 동생 이우와 자기의 딸을 혼인을 시키고 싶다는 뜻을 비치고 아버지를 비롯한 집안어른들에게 이 사실을 알려달라고 했다. 이이는 매학정에서 하룻밤 자면서 황기로와 늦도록 술을 마셨다. 그 소회를 긴 시로 적었다.

매화정에서 바라본 숭선대교.
동녘이 밝을 무렵 수레에 기름 치고,

산에 오르기 몇 번이며 물은 몇 번 건넜던가

외로운 산은 넓은 들 앞에 맞대어 있고

낙동강 뿌연 연기는 온 물가에 둘러 있네.

덤불 헤치고 길을 찾아 대 사립문을 두드리니

동자가 문에 나와 날 반가이 맞아주네

으리으리한 붉은 누각 먼지 한 점 없어

간소하면서 누추하지 않고 화사하면서도 사치스럽지 않네.

빈 뜰에 매화송이는 아직 피지 않았는데

깊은 못의 학 울음소리가 가끔 귀에 들려오네.

(중략)

맹세코 고기잡고 나무하며 한평생 늙을지언정,

흐리멍텅하게 취생몽사는 하고 싶지 않네.

오늘 밤 술잔을 사양치 않음은

인간만사 털어버리길 여기에서 시작하려고.

- 이이의 시 ‘매학정을 방문하다’.


매화정에서 바라본 낙동강 보천탄.
이이는 빈 뜰에 매화송이가 피어오르고, 깊은 못에서는 학의 울음소리가 들려오는데 100여리 떨어진 곳에서 텃밭을 일구는 황기로가 신선같다고 했다. 매학정에서의 1박2일은 두 집안의 경사로 이어졌다. 두 집안의 혼인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아들이 없었던 황기로는 매학정을 비롯한 전 재산과 초서체를 이우에게 물려줬다. 황기로가 죽고 이우가 정자를 물려받자 전국에서 시인 묵객이 몰려왔다.


정자 안에는 이이의 매학정기문과 시판, 이황과 임억령 조임도 등의 시들이 걸려 있다.송순 은 1552년 선산부사로 부임해 왔는데 이곳에 들러 시를 남겼다. 이종하가 매학정 건립과정을 설명한 실기를 쓰고 정두경이 매학정병서, 남운경이 매학정서를 썼다. 황필은 매학정 원운시를 썼는데 황기로가 조부의 시를 차운했고 이황도 제자를 위해 황필의 시를 차운해 시를 남겼다.
▲ 글·사진 / 김동완 여행작가

백세전 임포의 풍류를 사모하여

평생토록 호반에서 매화와 학을 벗하였네

매화향기 이로부터 깨끗한 기운 함께 하고

눈처럼 날리는 꽃잎 오는 봄을 사양하네

그대가 아름다운 이름 사모하여 좋은 땅 차지 했으니

나는 빼어난 경치 구경하려 배를 띄운다오

학아, 매화꽃이 야위어 간다고 애태우지 말라

장욱의 필치로 앞으로의 세상 즐기게 해 주리라

- 이황의 시, ‘매학정차운시’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