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남쪽 활성단층 450여개 추정…2041년에야 지도 나올듯

활성단층 보고지점. 자료사진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은 이제 ‘상식’에 가깝다.

지진 예측은 현재 과학기술로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대다수 학자의 중론이다.

최선은 지진이 났거나 날 가능성이 높은 ‘활성단층’을 찾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정해 구체적인 위험에 대비하는 것뿐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전국에 분포한 활성단층을 그린 지도 자체가 없다.

정부 차원의 전국 활성단층 지도는 2041년에 만들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9월 경주 강진의 원인으로 지목된 양산단층을 포함해 한반도 남쪽에 지진 유발 가능성이 있는 활성단층은 최대 450여 개가 땅속에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련 연구는 걸음마 수준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난달 16일 “본진 단층면을 조사한 결과 포항 지진은 존재가 보고된 적 없는 북북동 방향의 단층대를 따라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포항지진을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지진을 유발하는 새로운 단층이 또 발견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은 활성단층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활성단층 지도 제작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다.

활성단층 연구팀의 연구책임자인 김영석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활성단층이 지나가는 지역의 지표에는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는다든지, 내진 시공을 강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진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진작에 국가 차원에서 활성단층 연구를 시작해야 했던 이유다”며 “육지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도 얼마든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쓰나미 등 추가 재해가 유발돼 육상 지진보다 더 막대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바닷속 활성단층 지도도 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 인력은 얇고 관련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

당장 활성단층 지도 제작에만 최소 석·박사급 이상의 연구 인력이 필요해 외국 연구자들을 동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부랴부랴 ‘한반도 단층구조선의 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 연구에 25억7천여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이는 조사에 관한 예산만 편성돼 있다.

지진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선제적 대응을 하기 위해 지진 전문 국책연구기관 설립도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경북도는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거쳐 도내 설치 등을 건의한 바 있다.

경주와 포항 지진 사례가 증명하듯 경북은 다수 활성단층으로 지진 발생 빈도가 가장 높고, 국내 원전의 절반(12기)이 몰린 데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도 위치해 안전성 확보가 절실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예비타당성 조사 용역비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전액 삭감된 상태다.

김영석 교수는 “지진에 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하려면 국가 차원의 종합연구기관 설립은 필수적”이라며 “여러 기관에 흩어진 전문인력을 통합해 연구조직을 만들어 연구 수준을 끌어올리고 전문 인력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