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6일 3박 4일의 중국 국빈방문 일정을 모두 마치고 귀국했다. 방문 기간 중에 중국 공안이 주도하는 사설 경호원들이 문 대통령과 동행한 한국 사진기자를 무차별 폭행하는 사건이 벌어져 큰 상처를 남긴 대통령의 방중 결과지만 성과도 있어 이를 어떻게 이어나갈지가 숙제로 남아 있다.

가장 큰 양국 간 외교적 현안은 주한 미군의 사드 문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날 문 대통령과의 확대정상회담에서 ‘우리가 모두 아는 이유’라며 사드 문제를 에둘러 짧게 언급했다. 사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더 이상 확대되지 않은 것만 해도 성과라고 평가할 수는 있을 것 같다. 양국이 사드에 대한 이견으로 정상회담 뒤 공동성명을 내지 않은 것이다. 양국은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4대 원칙에 합의하고 정상 간 핫라인을 구축하는 한편 양국의 협력분야를 정치·안보 분야로 확대하는 등 나름 성과를 냈다.

중국은 10·31 정부 간 합의로 사드 갈등이 ‘봉인’된 이후에도 이른바 ‘3불(不)’ 등을 집요하게 거론하고, 한국 단체관광 금지도 제한적으로만 푸는 등 여전히 우리를 압박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문 대통령이 15일 중국 경제를 총괄하는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회동에서 경제·무역 부처 간 채널 재가동 다짐을 받아낸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우리 측은 이를 사실상 경제관계 정상화를 공식화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외교의 ABC는 의전인데 행사 진행과정에서 의문점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문 대통령의 공항도착 영접에 한 단계 낮은 쿵쉬안유(孔鉉佑)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나오고, 문 대통령을 수행 취재하던 우리 사진기자가 중국인 경호원에게 폭행을 당했다. 또 문 대통령이 8끼 식사 중 국빈만찬 등 두 끼를 제외하곤 모두 중국 관계자 없이 식사를 해 ‘찬밥’ 논란이 일기도 했다.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은 ‘국격훼손’, ‘외교참사’라고 혹평한 것이 그것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방중은 사드 보복 철회, 양국관계 정상화 등 성과를 냈지만 한계도 있었다. 중국은 광대한 영토소유국가여서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중국 통상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지방정부들도 해외시장과 투자처 다변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중앙정부는 중국 측에 대북 제재와 압박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설득하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