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퍼스위클리 1888.01.28-미국대통령관저로 안내된 조선사절단.
국립중앙박물관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역사자료총서 17)을 발간했다.

이 자료집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영국, 미국, 프랑스에서 대중적 인기를 누렸던 신문과 잡지의 한국 관련 기사 75건을 선정해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수록한 것이다.

대한제국판 ‘어서 와 한국은 처음이지’라고 할 수 있는 이번 자료집은 서양세계에 문호를 개방한 이후 한국을 처음 찾은 서양인들이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고 소개했는지 알 수 있다.

자료집에 수록된 기사 75건은 ‘더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하퍼스 위클리’, ‘르 프티 파리지엥’등 영국, 미국, 프랑스의 신문과 잡지 14종에서 뽑아, 병인양요, 신미양요, 갑신정변, 청일전쟁, 을미사변, 러일전쟁, 고종과 그의 폐위, 군대해산. 의병항쟁 등 당시의 주요 사건을 소주제로 삼아 분류해서 편집한 것이다.

이 자료집에는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는 기사도 있다.

라비일뤼스트레 1904.01.29-서울에서 일본군과 조선군.
특히 1890년 신정왕후(神貞王后·조대비)의 국상에 조문 온 중국 사신들을 맞이할 때 벌어진 중국과 조선의 외교적 신경전, 1904년 일본이 한국 침략을 목적으로 부설하던 철도 공사를 방해했다는 명목으로 총살당한 의병 관련 사진과 삽화 등은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다.

수록된 기사들을 보면 서양인들의 시각도 천차만별이다. 특히 흰옷과 한복, 담뱃대, 갓, 초가집, 온돌 등 한국인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매우 이국적으로 바라보았다. 이를 5천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의 고유한 문화라 인정하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시각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서양인들은 자신들의 문화를 우수한 것으로, 한국의 문화는 빨리 개선해야 하는 미개한 것으로 상정하는 문명론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정치적으로는 세계정세 속에서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리라고 예견하면서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일본의 침략을 방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편이 미개한 한국을 위해서 훨씬 좋다고까지 말했다.

더그래픽 1904.03.05-한국 해안가 시골의 모습.
한편 자료집에는 기사보다 더 생생하게 당시 상황을 전해주는 이미지들을 최대한 소개했다. 19세기 말~20세기 초는 신문에 수록된 이미지가 그림에서 사진으로 넘어가는 시기였으며, 흑백 사진을 바탕으로 보다 강렬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천연색 삽화를 만들기도 했다. 이런 사진과 삽화들은 사건의 순간을 포착하며 현장성과 사실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자료집에 수록된 삽화와 사진들은 당시의 우리 역사를 생생하고 풍부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번 자료집 발간을 준비하면서 그동안 출처가 불분명한 채 사용되었던 삽화나 사진들의 출처를 새로 알 수 있게 됐고, 그 연유와 맥락도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됐다.

더일러스트레이티드런던뉴스 1865.01.07-조선인들.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들이 한국을 다녀간 후 쓴 저서들이 지금까지 꽤 번역됐지만 신문 기사들을 시대별로, 사건별로 모아 완역을 해 소개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번 자료집은 당시 서양인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실 무근인 기사들도 많지만, 그 기사의 행간에는 지금 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글들도 적지 않다.

이 자료집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www.museum.go.kr)의 학술→역사학→연구보고서에서 PDF 형태로 내려 받을 수 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