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8 당시 중앙로에서 진행된 시위 광경.
대구에서 시작된 2·28민주운동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정부는 30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2·28민주운동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대통령이 개정안을 재가하면 법제처가 다음달 6일 관보에 게재하는 절차만 남아 있다.

2.28 직후 여학생들이 시위하고 있는 모습.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학생이 주축이 된 민주 운동

2·28 민주운동은 한국전쟁 이후 고교생들이 주체가 된 첫 민주적 저항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4·19 혁명의 결정적인 계기였으며 이후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영구집권을 위해 이승만 정권은 개헌을 단행하는 등 국민들의 뜻과 다른 행동으로 일관했다. 이에 따라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심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자유당은 1960년 2월 28일 대구 수성천변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던 야당 부통령 후보 선거 연설회를 축소하는데 집중했다. 선거를 앞두고 야당 대통령 후보인 조병옥 박사가 서거, 모든 관심은 부통령 후보인 장면 박사에게 몰렸다. 많은 인파가 장 박사의 연설회에 참가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자유당은 학생들이 유세장에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각종 편법을 동원했다.

2 28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는 경북고 이대우,안효영. 당시 신문에 보도된 사진.
공립 고등학교는 일요일임에도 불구하고 등교를 지시했고 나머지 학교도 임시시험, 단체 영화 관람 등 등교를 강요한 것이다. 학생들은 당국의 지시에 반발했으며 집회 등 행동으로 이어졌다.연설회 하루 전인 2월 27일 이대우 경북고 학생부 위원장 집에 대구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 학생 8명이 모였다.

이들은 일요등교 지시에 항의를 하기 위해 시위를 조직했으며 결의문을 만들었다. 마침내 2월 28일 학생 800여 명이 반월당을 거쳐 경북도청으로 행진을 시작했고 다른 학교 학생들도 합류했다.

학생들 숫자는 1200여명까지 늘었으며 경찰의 진압이 시작됐다.

하지만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학생들을 성원하면서 진압 자체가 어려웠다.

경북도청에 모인 경북고 학생들
비록 120여명의 학생들이 체포됐지만 시민들의 성원을 목격한 경찰은 시위가 더욱 커질 것을 우려, 대부분의 학생을 석방했다. 전국적으로 학생들의 시위 소식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전국 각지 학생들의 궐기와 시위가 이어졌다. 그 결과 3·15마산의거, 4·19혁명으로 이어졌으며 마침내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 독재정권을 몰락시켰다.

이 처럼 2·28민주운동은 반독재 민주화운동의 효시이며 학생들이 선도하고 시민들의 지지로 이어진 민주 운동으로 남아 있다.

2 28 참가 학생들의 연행 광경.
△기념일 지정을 위해 전국에서 100만명 이상 서명

2·28 민주운동 기념일 지정을 위해 대구시는 지난 2016년 100만인 서명운동에 나섰다.

지난 2010년 민주화운동으로서 법적 지위를 공식 인정받았지만 기념일로는 지정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16년 제56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대구시와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는 국가기념일 추진을 선포했으며 광주시도 동참, 힘을 보탰다. 같은해 4월 사업회는 범시민위원회를 구성하고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토론회 등을 벌였다.

국회의원 18명도 2·28 민주운동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결의안을 국회에 냈다.

대구시는 지난해부터 2월 21일부터 28일까지 시민주간으로 선포하고 대대적인 기념 사업을 벌이는 등 기념일 지정에 주력했다.

2 28 집회 당시 교문으로 뛰어가는 경북고생들.
2 28 시위 도중 발생한 부상자.
지난해 9월 2·28 민주운동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결의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탄력을 받았다. 범시민위원회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국가기념일 지정 청원서와 100만인 서명부를 전달했다. 서명에 는 대구·경북, 광주는 물론 서울·경기·충청·전남 등에서 124만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념일로 지정된 만큼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는 다음달 28일 다양한 축하 행사를 마련할 계획이다.

당시 민주운동에 참가한 대구 8개 고등학교에서 재학생 8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반월당에서 대구콘서트하우스까지 ‘민주 횃불 거리 행진’을 벌인다. 또한 민주운동 당시 시위에 참가한 시민들은 교복 차림으로 참가하고 당시 결의문을 낭독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2·28기념중앙공원 안에서 노래비 제막식도 진행된다. 기념회사업회 관계자는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공표된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기쁜일”이라며 “다음달 6일 정식 공표되면 시와 논의해 의미 등을 살릴 수 있는 행사를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목 기자
김현목 기자 hmkim@kyongbuk.com

대구 구·군청, 교육청, 스포츠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