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명재 국회의원이 11일 오전 흥해실내체육관을 방문해 지진이재민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11일 새벽 5시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학천리 일대에서 또다시 규모 4.6의 여진이 발생하면서 피해가 잇따르자 6.13 지방선거 경북도지사 출마후보군들의 발길이 잇따랐다.

지역구와 인접한 박명재 국회의원(포항남·울릉)은 이날 여진 발생 직후 곧바로 진앙과 가까운 흥해읍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피해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흥해실내체육관에 대피해있는 이재민들을 만났다.

이후 박 의원은 이강덕 포항시장과 김정재(포항북) 국회의원 등과 함께 건축물의 안전 점검과 흥해실내체육관 외의 추가적인 대피소를 물색하는 등 지진에 대한 피해 대책 마련과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박 의원은 “잇따른 지진으로 주민들의 불안이 사라지지 않고 포항시민은 물론 전 경북도민이 지진 위험과 공포 속에 놓여 있다”며 “도와 시의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중앙정부와 함께 △지진 안전을 위한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를 조성 △포항·경주지역에 지진방재연구소 설립 △국립 안전문화교육진흥원 설립 유치 △사회안전서비스 전문인력양성원 설립 △각종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사업 추진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진종합대책이 마련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철우 국회의원이 11일 포항을 방문해 흥해실내체육관앞 임시 상황실에서 피해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이철우(김천) 국회의원도 이날 당초 예정된 일정을 중단하고 포항 지진현장으로 내려와 지진 피해상황을 살폈다.

이 의원은 김정재 의원, 이강덕 포항시장과 함께 피해상황을 직접 체크한 뒤 지진에 놀라 대피한 주민들을 만나 당시 상황을 듣고 “도민의 안전과 안전한 경북을 위해 지진이나 태풍 등 재난 예방에 슬기로운 방안이 있는지 살펴보겠다”면서 “지역 국회의원 및 경북도, 포항시 등과 함께 실질적인 정책대안이 마련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지진은 이제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결코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하고 “지진에 대비해 내진 설계비율을 높이는 등의 대응책을 안전대책을 강구해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해 12월 23일 지진으로 인해 포항을 찾는 손님들의 발걸음이 끊어지면서 침체된 포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죽도시장 장보기 번개팅’을 가진 바 있다.

▲ 김광림 국회의원이 11일 포항을 방문해 흥해실내체육관에서 지진피해민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광림(안동) 국회의원도 이날 여진 발생 이후 포항으로 달려와 피해상황을 점검하고, 주민들을 위로했다.

김 의원은 흥해체육관에 대피한 주민들을 만난 자리에서 “새벽에 발생한 지진으로 얼마나 놀라셨을까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왔지만 시민 여러분께서 너무도 의연하고 성숙하게 대응하고 계셔서 존경스럽고 숙연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들께서 흥해체육관에 텐트와 이불이 부족하고, 저녁에는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춥다는 애로사항을 전해주셨다. 잠자리에 최대한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피해상황을 신속히 접수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합동상황본부를 찾은 김 의원은 “포항시민들에게 정확한 상황을 알려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재난문자가 늦게 발송된 원인을 찾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 뒤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남유진 전 구미시장은 이날 포항 여진과 관련 ‘포항을 반드시 국제안전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남 전 시장은 “지난 새벽 발생한 지진은 여진으로선 강력한 4.6규모다. 부상자가 속출할 만큼 현장에서 시민들이 느꼈을 공포는 더 컸을 것”이라며 “구미에서도 확연히 느껴질 정도였는데 포항 시민들은 얼마나 많은 날들을 불안 속에 살아가겠나. 그 마음을 생각하면 무척이나 안타깝다”고 심경을 밝혔다.

이어 “평소 안전시스템 구축을 무척 강조해 왔으며, 안전하지 않은 도시는 미래가 없다”며 “재난안전문자가 늦어진 원인이 행안부 시스템 오류라고 하는 데 이는 있을 수 없는 일인 만큼 정부 시스템과는 별개로 경북의 안전을 책임질 별도의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구미시를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받은 경험이 있는 만큼 포항과 경주를 포함한 경북도 전체를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받겠다”고 밝혔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