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전 절반인 12기 소재···산·학·연 핵심 인프라 완비
원전 전주기 싸이클 완성 최적···道, 22만 서명 관계 부처 전달

경북도청 신도시 전경
경북도가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 추진에 발맞춰 원전·방폐장 등 국가 에너지 산업기반이 집적된 경북 동해안에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이하 해체센터)와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지역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최근 국회입법조사처의 원안위 지방이전에 대한 타당성 조사결과가 원안위 지방 이전이 원전해체센터의 연계 이전으로 결론이 나서 지역 간 유치 경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원해연과 원안위의 경북지역 동반 유치 추진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국내 원자력발전의 절반인 12기의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데다 산·학·연 인프라가 국내 어느 지역보다 잘 갖춰진 경북 동해안 지역이 원해연과 원안위의 입지로 최적이기 때문이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지난 2014년부터 경주지역 원해연 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유치 서명운동을 전개해 22만 명의 서명을 받아 중앙정부에 전달하는 등 원전 해체연구센터 유치에 온 힘을 쏟아왔다.

원자력시설 해체는 원자력 발전시설의 운전 종료 후 해당 부지를 안전하게 개방하기 위한 제염, 해체, 폐기물 처리, 부지 복원 등의 모든 활동으로, 국내외 원전해체산업 시장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첨단 블루오션 산업이다.

국내는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2020년 월성 1호기, 2040년 월성 2호기를 포함한 10기 등 2070년까지 가동 또는 정지 중인 24기의 원전 중 23기가 대상이다.

원전 1기당 해체 소요비용은 약 6000억 원으로 약 14조 원 규모의 시장 형성이 예상된다.

해외 시장도 2070년까지 2653억 달러로 급속히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도 원해연 입지와 원안위 이전지로 원전이 밀집되고 원전 건설과 운영의 경험과 기술, 그리고 인력이 축적된 경북 동해안이 국가 원전해체산업 육성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국가 원자력안전관리 중추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비롯한 원전해체센터는 원자력 발전소의 가장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인구 저밀도와 넓은 임해부지, 주민 수용성이 확보된 경주가 사업 추진의 최적지이다.

경북지역에는 현재 국내 가동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소재해 있고, 원전해체를 담당할 한국수력원자력(주) 본사와 원전설계 전문기업인 한국전력기술,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하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및 원전 유지 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한전KPS 원전서비스센터 등이 소재하고 있다.

또 포스텍, 동국대 등 원자력 관련 전공 학과와 국내 유일의 원자력 마이스터고 운영으로 고급 인력에서 현장 기능 인력에 이르기까지 원전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체센터가 동해안에 들어서면 경북은 원전의 설계, 건설, 운영, 해체, 처분으로 이어지는 원전산업 전주기 싸이클이 완성되는 국내 최적 지역이다.

김세환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오는 4월 원자력안전클러스터 포럼, 5월 국제 원자력안전 및 해체산업육성 포럼 등을 열어 원해연과 원안위의 도내 유치, 원전해체산업육성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와 산업계의 의견을 모아 지역 유치의 당위성과 분위기를 적극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양승복 기자
양승복 기자 yang@kyongbuk.co.kr

경북도청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