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태경 연세대 교수, 기초정보 구축·정부 적극적 대응 절실

지난해 11월 15일 5.4 강진 이후 연말까지 발생한 지진 진앙 분포(빨간색)와 올해 발생한 지진 진앙 분포(파란색)를 비교했을때 남서쪽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와 B지점은 각각 지난해 11.15 강진과 이달 11일 규모 4.6 지진의 진앙 위치.
지난해 11.15 강진 이후 발생한 여진의 진앙이 점차 남하 중 이라는 소식에 포항 시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실제 지난해 11월부터 연말까지 발생한 지진들의 진앙지와 올해 발생한 지진의 진앙지의 위치를 비교했을 때 남서쪽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진앙의 위치 이동은 섣불리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의 소견이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단기간에 진앙의 위치가 급변할 가능성은 희박하고 지난 11일 규모 4.6 지진은 지난해 본진 당시 부서지지 않은 단층이 부서지며 발생했다”며 “단층면의 경계부에서 기존의 응력과 함께 지난해 11월 본진으로부터 전이된 응력이 추가로 쌓여 매우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이곳이 추가로 부서지며 지난 11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지진발생여부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당분간 발생하게 될 지진은 지난 11일 발생한 지진의 진앙 주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홍 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포항지진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단층의 지하 6~9㎞ 사이 약 16㎢의 단층면이 수평으로 어긋나며 발생했다.

진앙으로 발표된 위치로부터 남서쪽으로 4.5㎞, 북동쪽으로 약 1㎞ 가량의 긴 거리에 걸쳐 지하 단층면을 차례로 부수었다.

지난 11일 규모 4.6 지진은 지난해 포항본진이 발생한 단층면의 남서쪽 가장자리 하단부에서 발생했다.

이에 따라 남서쪽 단층면 경계부를 중심으로 추가 여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바닷속 단층의 응력 증가로 인한 해저지진 발생 가능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홍 교수는 포항 북동 해역의 응력증가에 대한 주목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포항 북동 해역의 활성 단층 존재 여부와 기존 누적 응력량에 따라 또 다른 지진발생이 가능하다”며 “최악의 경우, 단층의 광범위한 특성으로 인해 해수면 아래에서 지진이 발생해 해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여진은 본진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규모와 빈도가 감소한다.

포항본진 이후 2시간 만에 발생한 규모 4.3 여진이 이달 11일 이전까지 최대 지진으로 기록된 것으로 미뤄 본진 이후 석 달 만에 발생한 규모 4.6 지진은 매우 이례적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강진 이후 11월 동안 규모 1.0 이상의 지진까지 합산된 모든 여진은 429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고 12월 49회, 올해 1월 23회로 감소세를 보이다 이달 들어서는 규모 1.0이상 2.0미만 46회, 2.0이상 20회로 증가했다.

이달 집계된 지진 발생 횟수의 대부분은 지난 11일 규모 4.6 지진 이후에 밀집돼 있다.

홍 교수는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진 잠재성 평가와 철저한 대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하 활성 단층을 포함한 내륙 및 해역의 단층 정보를 종합하고, 각 단층대별 응력 누적량을 파악하는 등 많은 기초 정보 구축이 절실하다”며 “관련 정부 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또 “지표 구성 물질에 따라 지진파 증폭도가 달라지므로 같은 종류의 건물이라도 해당 지역 지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내진보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