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원.jpeg
▲ 이재원 경북생명의숲 상임대표·화인의원 원장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작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범죄 피해 사실 폭로 캠페인 ‘미투(Me Too) 운동’이 우리나라에서도 한 용기 있는 여검사의 검찰 내 성추행 사실 폭로를 계기로 사회 각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제껏 알려진 사실만으로도 우리 사회가 이토록 성폭력 범죄행위에 대해 무방비 상태였던 가에 대한 회의감이 들고도 남을 정도다. 특히 성범죄를 처벌하는 사법부 내에서의 성추행 사실은 충격, 그 자체라고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솔직히 이번 일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반응은 ‘드디어 터질 것이 터지는구나’하는 분위기가 주를 이루는 모양새다. 이는 그동안 간간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 사회의 직장 내 성희롱은 물론, 회식자리에서의 성적 발언 수위가 이미 그 도를 넘어선 지 오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는 자기 고백과도 같다. 비록 직장 내 성폭력 사실이 이따금 외부로 불거져도 번번이 솜방망이 처벌로 일관해 온 그 결과가 지금과 같은 걷잡을 수 없는 폭로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특정집단 내에서뿐 아니라 각계 전반에 걸쳐 이 같은 추잡한 범죄사실이 만연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우리의 조직문화를 다시금 되짚어 보지 않을 수 없다. ‘권위에 대한 복종’을 강요해 온 그동안 우리 사회의 후진적 조직문화가 성폭력이라는 섬뜩한 범죄행위를 묵인 내지는 방조하게 만든 것이 아닌지 깊은 성찰이 필요할 때다. 불의인 줄 알면서도 자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을 감내할 자신이 없어 애써 외면하고 오히려 동조까지 할 수밖에 없는 조직 내 처세술(?)을 탓하기에 앞서 그럴 수밖에 없는 현실을 만든 그 힘, 즉 ‘권위’에 대한 태도 반성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불행히도 지금 우리 사회 분위기는 그 정도까진 나아가지 못한 것 같다.

성폭력 피해 사실에 대한 일부 언론의 선정적 보도행태나 피해자들에 대한 신상털기식 댓글 수준은 문제의 본질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한 방송인의 ‘미투 공작’ 발언으로 야기된 정치권의 논란은 더욱 그렇다. 비록 ‘미투 운동’이 애먼 사람 잡는데 악용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한 발언이라고 해명했지만 그의 발언은 여러모로 부적절한 것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자칫 용기 있는 사실 폭로가 정치적 음모론의 수단 내지는 무고이지는 않을까 하는 괜한 선입견을 심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분명 문제가 있다. 가뜩이나 근거 없는 의구심으로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제2차 피해가 공공연한 가운데 뜬금없는 공작 가능성을 제기한다는 것은 백번 양보해도 선의(?)로서 해석하기에는 무리다.

지금 우리 사회는 그동안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 추한 모습을 만천하에 드러내고 있는 중이다. 한편에서는 부패한 정치권력의 민낯이, 그리고 또 다른 쪽에서는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집단문화가 만들어 낸 추잡한 성범죄의 실상이 하루가 멀다고 낱낱이 밝혀지고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드는 계기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문제의 본질을 꿰뚫는 냉철함이 지금 이 순간 우리 모두에게 요구된다. 상대적 지위를 이용해 저지른 온갖 비리와 부도덕한 행위들이 더 이상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면죄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정치적 이념과 진영의 논리가 본질을 흐리게 그냥 두어서도 안 된다.

늘 그랬듯이 세상의 변화는 작은 사람들의 큰 용기 있는 행동에서 비롯되었다. 조직 내 성범죄 사실을 고발하자는 취지로 시작된 ‘미투 운동’이 우리 사회 전반의 부정과 비리, 그리고 불합리한 행위들에 대해 당당히 맞설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응원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