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핵화 등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해결을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이 11년 만에 5일 북한을 방문했다. 문 대통령의 대북특사 파견은 지난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나흘 만에 보낸 것이다. 2007년 제2차 국방장관회담과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2차 정상회담 조율차 방북한 이후 평양방문은 처음이다.

이번 대북특사단은 수석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외에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모두 5명으로 구성됐다. 청와대는 정 실장의 수석 인선에 대해 “미국통으로 북미 관계나 한미관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이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미국 정부 고위관계자들과 대화채널을 열어 놓고 있는 점도 고려됐을 수 있다.

다만 국정원장이 대북특사로 파견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국가안보의 보루여야 할 국가정보원을 ‘국가협력원’으로 전락시킨 서훈 국정원장이 대북특사로 거론되는 현실이 참담하다”고 비판했다. 전희경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대북 대화의 대전제 및 목적은 ‘북한의 핵 포기를 통한 비핵화’여야 한다. 하지만 특사로 거론되는 서 원장이 이런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사람이라고 보이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사단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의 친서 내용에 국민적인 관심이 높지만, 이번 특사단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 여건 조성, 남북교류 활성화 등 남북관계 개선’ 문제를 북측과 포괄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김 위원장이 제안한 남북정상회담 문제도 포괄적 의제에 포함됐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의 조율이다. 특히 북한이 비핵화 의사를 어느 정도 수위로 밝힐지가 관건이다. 지금까지 북한은 비핵화 거론 자체를 거부해 왔다. 우리 특사단의 방북 성공 여부도 바로 이 부분이다.

비핵화는 어렵고 정상회담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일시적 ‘휴지기’에 들어간 북미 갈등을 푸는 게 시급하다. 미뤄 놓은 한미연합훈련 등을 고려할 때 ‘골든 타임’은 많이 남지 않았다. 이번 특사단이 어떤 방식으로든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우리 특사단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다 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