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호순 병원장.jpg
▲ 곽호순병원 원장

소통을 하면 편안해진다. 법보다 주먹이 먼저라고 주장 하는 사람은 소통의 기술을 모르는 사람이다. 소통을 잘하면 주먹이 필요 없다. 소통은 상대방의 마음을 잘 알려고 노력해야 가능하다. 상대방과 잘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이 있을까? 있고말고.

이런 소통의 기술은 갑자기 알게 되는 것은 아니다. 나와 다른 어떤 한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고 그리하여 그와 함께 새로운 세상으로 가 볼 생각을 가지고 그 사람에 대한 호기심이 있어야 소통은 시작이 된다. 사람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하는 호기심은 바로 소통의 시작인데 이를 ‘공감’이라는 첫 번째 기술로 설명할 수 있겠다.

‘공감’은 같이 느끼는 것이다. 같이 아파하고 같이 힘들어하며 같이 기뻐할 수 있는, 그런 울림이 있는 사람이라면 상대방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할 자격이 있다. 모든 관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공감이며 공감이 없으면 소통도 없다. 공감은 동조나 동정 같은 것과는 다른 객관적이면서도 같이 참여하는 중요한 소통의 기술이다.

다음은 ‘경청’이다. 당신은 한 번이라도 상대방의 말을 귀 기울여서 들어 준 적이 있던가? 만약 그랬다면 당신은 이미 그 사람과 많은 것을 소통했다고 자신 있게 말해도 된다. 남의 얘기를 잘 들어 준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그러니 잘 들어 주는 것만큼 중요한 기법은 없다. 내가 말을 하지 않고도 충분히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경청이다. 소통하고 싶다면 꼭 경청하여야 하고 경청할 수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수용’도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나와 다른 생각을 틀린 생각이라 속단하고 그 생각을 자꾸 바꾸려고 든다면 수용이 아니다. 수용은 받아들이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존중하는 것이 바로 수용이다. 내가 받아들이면 그도 나를 받아들인다.

‘반영’도 또한 중요한 방법이다. 반영은 그의 생각에 내가 반응하는 것이다. 그의 생각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의 생각대로 내 마음을 움직여 보는 것이 바로 반영이라 할 수 있겠다. 내가 반응하지 않고 나에게 반응하라고 강요한다면 소통의 마음은 닫히고 서로 알 수 없는 마음으로 돌아서게 된다. 그 사람의 생각에 내가 물드는 것이 바로 수용이다.

‘해석’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해석한다는 것은 다른 생각을 틀린 생각이라고 막 가르치려 드는 것이 아니다. 그 사람이 겉으로 드러내는 문제가 내면적으로는 다른 이유가 있음을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할 때 그것을 일깨워 주고 알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방법을 해석이라고 한다. 잘 해석하는 능력이 있으려면 그 사람의 속마음을 잘 알아야 하고 해석을 잘하면 그 사람과 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신의 내면에 담겨 있는 참모습을 알 수 있게 도와준다면 크게 고마워할 것이다. 제대로 된 해석은 불쾌하게 만들지 않는다. 해석은 지적이 아니다.

‘직면’을 시킬 수 있는 능력도 큰 도움이 된다. 그가 자기의 문제를 회피하거나 숨기고 싶어 하거나 위장하려 할 때 그것을 맞닥뜨리게 해서 헤쳐나가게 도울 수 있는 기술이 바로 직면시키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두려워하지 않게 하고 용기를 가지게 하며 이겨낼 수 있도록 한다면 이 또한 소통을 위해 큰 기술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탐색, 요약, 구조화, 명료화, 안심시킴 등의 기법들이 있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기법은 바로 ‘사랑’일 것이다.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기술들이 어눌해도 기법들을 잘 적용하지 못해도 그런 것들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경청하고 공감하고 수용하고 반영도 하며 이런 모든 방법이 술술 그냥 자연스럽게 응용될 것이 분명 하다. 소통의 기술에 사랑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