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북동부 5대호 주변의 쇠락한 공장지대를 ‘러스트 벨트(rust belt)’라 부른다. 쇠락한 공장설비에 녹이 슬었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동부의 뉴욕과 펜실베니아주를 포함 웨스트버지니아, 오하이오, 미시간, 일리노이, 위스콘신 등으로 원래는 미국 산업을 주도하는 ‘공장 벨트(factory belt)’로 불렸다. 이 지역에는 철강과 자동차, 기계, 방직산업 등 제조업이 활황이었다.

1950년 이 러스트 벨트는 9개 주 고용 인원은 미국 전체의 43%나 차지했다. 총생산량도 45%에 달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고비용 구조와 제조업 쇠퇴로 인구가 줄고 범죄율이 치솟아 골칫거리가 됐다. 2000년 기준 러스트 벨트의 고용 인구와 생산품의 부가가치 비중은 각각 27%로 떨어졌다.

경북동해안 산업 벨트도 러스트 벨트처럼 심상치 않은 상황에 놓여 있다. 문재인정부 들어 급격한 에너지 정책의 전환으로 그동안 실행에 들어간 각종 정책 대부분 내려놓고 역방향의 정부 정책에 허겁지겁 맞춰가고 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경북도 ‘동해안에너지 클러스터’ 사업이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 진 것이다. 가동 중이거나 신설 계획했던 경주와 울진 영덕 등 시군의 원자력 산업은 피해가 현실화 되고 있다. 국정감사에서 이들 동해안 시군에서 모두 2조5000억 원의 피해가 날 것으로 추정했다.

경북은 비발전분야 원자력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와 방사선융합기술원 설립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느 것 하나 손에 잡힌 것이 없다. 한마디로 동해안 핵심 개발 정책이 완전히 백지에서 새로 출발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다 철강산업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포항철강산단 근로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총 1만4502명으로 2014년 10월 1만6176명 보다 10.3%, 1674명이나 감소했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철강에 25%, 알루미늄 10% 관세 부과 강행 조치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넥스틸과 세아제강 등 철강공단 기업들이 심각한 타격에 직면해 있다. 경북 ‘동해안 벨트’가 ‘러스트 벨트’가 되지 않을지 걱정이다.

이동욱 편집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