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성균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동해본부장
동해안 항포구에는 제철 대게를 맛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아들고 있다.

특히 3·4월은 대게의 주 조업 기간으로 동해안 관련 지자체는 앞다투어 대게 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한다.

동해안 대게잡이는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조업이 이루어지며, 이후에는 수산자원관리법상 자원관리를 위해 조업금지 기간으로 지정되어 있어 일정 시기에만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바다의 진객 중의 진객이다.

하지만 대부분 국민은 국내산 대게 이외에 러시아산 수입 대게를 많이 접하고 있어 국내 대게 자원의 지속적인 감소와 중요성에 대하여는 체감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국내 생산되는 대게의 어획량은 1996년까지 200t 이하의 낮은 어획 수준을 보이다가 1996년 이후 근해자망어업에 의한 대게 어획량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 2007년에는 4594t이 어획돼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를 정점으로 2017년에는 1848t이 어획돼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게 같이 성장 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품종은 장기간의 노력과 관리가 있어야 증가 추세를 보일 수 있는데 현재 추세로 보아서는 향후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자원량이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것이 학계의 의견이다.

그럼 과연 대게 자원량이 감소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 대게 자원의 변동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추정할 수 있다. 먼저 서식처의 환경변화로 인한 대게 자원의 감소이다. 두 번째로 먹이 생물의 변동에 따른 자원 감소이다. 세 번째로 성장 시기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원인이다.

네 번째로 최근 들어 가장 문제가 되는 암컷 대게 불법조업 등의 어로행위에 의한 자원감소가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국민은 어란을 즐겨 먹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어 불법조업 및 유통이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암컷 대게는 수만 마리의 대게를 부화할 수 있어 철저한 보호와 불법조업 근절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그럼 이웃 나라 일본은 어떤 방법으로 대게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을까? 일본은 1980년대부터 서부 각 현에서 대게 자원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저인망 조업금지를 위한 대게 보호육성초를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속적인 대게의 어획량 감소에 따라 효율적 관리 체계 마련이 절실하게 돼 2007년 5월 어항 어장 정비법 개정에 따라 EEZ 해역에 대한 자원관리 주체가 국가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한화로 약 2000억 원의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 결과 보호육성초 설치 해역에는 총 2000t의 잠재적 대게 자원량이 보호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나라는 대게의 자원회복과 체계적 관리를 위해 2015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매년 1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동해 대게 자원회복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상해역은 울진 죽변·후포, 영덕 축산·강구 총 4개 해역으로 100~150m 수심에 총 2400ha 면적이다. 주요 목적은 어린 대게 및 암컷대게 보호 및 서식환경 개선을 위한 보호초 설치이다.

하지만 당초 계획은 5년간 266억 원이 투입되는 것이 계획이었으나, 관련 예산 부족으로 해마다 16억이 투입되고 있어 실질적인 대게 보호를 위해서는 턱없이 적은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과연 이 사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게 자원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부분에 있어 다시금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앞으로 우리 후세, 가까운 우리 자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자원인 대게를 위해 당장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기보다는 과연 우리가 해야 할 역할과 노력에 대해 생각해야 할 시점에 이르지 않았나,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대게 자원 회복을 위한 정책적 접근이 절실히 필요한 때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