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3일 실시되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전국 17곳의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선거, 226곳의 기초단체장 선거가 동시에 치러진다.

전국적으로 824명의 광역의원과 2,927명의 기초의원도 새롭게 선출된다.

지난해 대통령 탄핵으로 5월 9일 실시된 ‘조기 대선’ 결과, 정권 교체 등 중앙권력의 대대적 변화가 이뤄진 데 이어 1년 1개월여 만에 지방 정부 및 의회 전체가 뒤바뀔 수 있는 지방권력의 재편이 예상된다.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1년을 평가받는 첫 심판대의 전국 단위 선거로 최대 12곳, 즉 미니 총선 수준의 국회의원 재보선도 동시에 실시된다.

이 때문에 정부·여당은 이번 선거를 통해 진정한 정권 교체를 완성하겠다는 각오다.

적폐청산 요구를 담은 촛불민심의 힘으로 탄생했으나, 여소야대의 한계로 개혁작업에 번번이 발목을 잡힌 만큼 이번 지방선거에서 전국적 지지를 받아 역점 과제의 추진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반면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야당은 중앙권력에 이어 지방권력까지 내줄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지방선거 승리를 외치며 문재인 정부를 견제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제1야당인 한국당은 국정농단 및 탄핵사태로 지난해 대선에서 패배한 데 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무릎을 꿇는다면 당 존립 자체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처럼 여야 간 한 치의 양보 없는 30일간의 대격전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당장은 여당인 민주당이 우위를 점한 분위기다.

민주당 내에서는 지방선거 압승 기대감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80%를 넘나드는 데다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한반도 평화 무드가 본격화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까지 진행된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대구·경북(TK)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우세한 상황이다.

수도권은 물론이고 한국당의 전통 텃밭인 부산, 울산, 경남 등 일부 영남 지역에서도 민주당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민주당이 대외적으로 9+알파(α), 즉 민주당 소속 광역단체 9곳 이상에서의 승리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지만, 전체 17곳 광역단체 중 12~14곳을 이기며 사실상 싹쓸이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반면 한국당은 기존에 확보한 광역단체장 6곳의 ‘사수’를 외치며 배수의 진을 친 상태다.

한국당은 여론조사 결과와 바닥 민심은 다르다고 강조하며 민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홍준표 대표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여론조사는 믿을 수 없다. 진짜 민심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자”며 6곳 이상의 승리를 자신하고 있다.

이는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일명 드루킹 사건)과 안희정 전 충남지사 등 여권 인사들이 거론된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논란, 민생·경제 상황 악화 등으로 실제 민심은 결코 현 여권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과 한국당, 거대 정당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제2야당인 바른미래당은 지방선거 선전을 통해 대안 정당으로서 입지를 다진다는 목표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도 의미 있는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사활을 건 여야 간 치열한 대결이 예상되는 가운데 북미정상회담과 드루킹 특검 등 외적 변수가 지방선거 판 전체를 흔들 수도 있다.

또, 한 달간 열전의 막이 내리면 정치 지형의 변화도 예상된다.

여당인 민주당이 압승하면 문재인 정부의 개혁드라이브는 탄력을 받겠지만 야권은 선거 패배 책임론이 불거지며 내홍 양상으로 접어드는 것은 물론, 정계개편의 소용돌이에 휩싸일 수 있다.

반면, 야당이 의미 있는 성과를 낼 경우 야당의 대여 견제력이 한층 강화되며 고공 지지율에 힘입은 여권의 질주에 일부 제동을 걸 수 있다.

이기동 기자
이기동 기자 leekd@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 대통령실, 국회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