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세계 11위 경제 강국이지만 부끄러운 기록들이 많다. 그 가운데 하나가 산업재해율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가운데 산업재해율이 가장 높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노동현장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한 근로자가 2000명에 육박한다.

고용노동부 집계를 보면 지난해 산업재해 사망자가 1957명으로 전년보다 180명, 10.1%나 더 늘었다. 지난해 전체 재해자 수는 무려 8만9848명이나 된다. 이 가운데 사고성 재해 피해자가 대부분인 8만665명이고 질병 재해자가 9183명이다. 통계에 잡힌 산업재해자 수만 해도 이러니 여타 미신고 재해를 감안하면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지난 1월 제철소 내 산소공장에서 외주근로자 4명이 질식사해 글로벌 기업의 이미지에 큰 상처를 입은 포스코가 대대적인 산업재해 줄이기에 착수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포스코에서는 지난 2013년에도 2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최근 5년간 7건의 대형 사고가 이어져 대기업 답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유사 사고가 재발하고 외주사 근로자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아 지탄을 받았다.

포스코가 최근 안전 관련 분야에 3년 동안 1조1050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 1월 산소공장 사고 이후 안전점검을 마치고 기존 안전예산 5453억 원에 5597억 원을 더 증액해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포스코는 안전 조직을 만들고 인력을 육성하는 데 369억 원, 밀폐 공간처럼 중대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장소나 시설물의 안전장치를 보완하는 데 5114억 원, 외주사 교육과 감시인 배치 등에 114억 원 등을 들인다는 구체적 실행계획을 밝혔다. 뿐만 아니라 안전보건 전문가도 영입하는 등 200여 명의 안전 전담인력도 확보키로 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다 안전업무 컨트롤타워인 안전전략사무국을 본사에 신설하고, 안전방재부를 제철소장 직속으로 격상, 스마트기술로 안전 수준을 제고하는 스마트안전그룹도 신설하기로 했다니 물리적 조치와 함께 인적 조직도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셈이다. 포스코는 또 그간 외주사 직원들의 산재 사고가 많은 점을 감안, 제철소장과 노경협의회 위원, 외주사 사업주와 직원이 공동 참여하는 안전협의체도 구성키로 했다고 한다.

포스코가 안전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와 함께 안전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이중 삼중의 안전 장치를 마련할 계획이라니 늦은 감은 있지만 환영할 일이다. 글로벌 기업 포스코의 대대적 안전투자가 아직 안전의식 수준이 낮은 국내 다른 기업들의 모범이 되게 해야 한다. 포스코에서 후진국형 안전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게 완벽한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