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선거가 역대 최고의 ‘깜깜이 선거’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선거 하루 전에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기 때문에 6·13지방선거는 유권자들의 시선을 끌지 못하고 있다. 지역 방송에서도 도지사나 시장 군수 후보자들의 토론회가 열리지만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선거가 1주일도 남지 않았고, 선거 공보물이 각 가정으로 배달됐다. 하지만 아파트 마다 배달된 공보물이 그대로 우편함에 꽂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길거리에서 후보자들이 이름판을 목에 걸고 연신 고개를 숙여 인사를 해 대지만 그들이 어떤 이력과 정책을 가진 사림인지 유권자들은 제대로 알지 못한다.

유권자들이 대구시장이나 경북도지사 등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각 시군의 시장, 군수 후보의 면면 정도는 안다고 해도 시군구 의원이나 도의원 등의 광역 기초의원 후보들은 이런 선거 방식으론 도저히 알 수 없는 노릇이다. 유권자들이 이들의 인물 됨됨이나 정책도 모르고 오직 선다형 투표를 해야 하는 지경이다.

유권자들이 이처럼 지역 주민의 삶과 직결되는 시군의원이나 광역의원에 대해 관심이 적은 것은 주요 정당의 후보들이 지역 주민과 평소에 친밀하게 소통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지역밀착 공약을 발굴해 공론화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선거 때만 되면 교통정리를 하고, 거리 인사를 하는 것이 일반화 된 양상이다.

지역 유권자들은 이번 선거에서 “기초의원이나 광역의원을 누구를 뽑을 것인가”라고 물으면 실소를 보이며 “누구를 찍어도 똑 같다”고 말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지방의회는 지방행정을 감시하고 현안을 발굴해 지역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주요 역할인데 이 같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른사회시민회의 등 시민단체들이 2016년 발표한 ‘지방의회 의원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17개 광역 시·도의원이 발의한 조례는 연 평균 한 건에 불과했다. 단 한 건의 조례도 발의하지 않은 의원이 수두룩하다. 경북 23개 시·군의회의 지난 4년 간 조례 발의 건수는 584건으로 의원 한 명당 평균 2건이다. 하지만 임기 내 조례를 단 한 건도 대표발의 하지 않는 의원이 80명이나 된다. 있으나 마나 한 의원이 이렇게 많다는 얘기다.

이뿐 아니라 뇌물수수, 청탁·알선 등 지방의원들의 비위도 끊이지 않았다. 배달된 선거 공보물을 훑어 보면 음주운전부터 집시법 위반까지 전과가 없는 후보를 찾기 어렵다. 우리 사회의 규범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사람이 우리의 대표가 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온 가족이 둘러 앉아 배달된 공보물을 놓고 우리 동네 대표로 나오는 후보자들이 어떤 사람인지 토론해야 한다. 자격과 함량 미달의 후보들을 의회 문턱에 들이지 않아야 떠다니는 부평초 같은 20년 지방자치, 풀뿌리 민주주의도 뿌리를 내릴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