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결과 담은 책자 공개

포항지진 발생 현황. 여진은 본진 발생 이후 지난 2월 28일까지 1천350회 이어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반도 지진관측 이래 최대 규모인 2016년 경주지진(규모 5.8)과 2017년 포항지진(규모 5.4)은 단층대 재활성화 사례로 중대형 지진이 언제든 발생할 수도 있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돼 대비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지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확실하고 유의미한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난 2년간의 경주와 포항지진의 연구결과를 담은 책자 ‘일반인을 위한 한반도 동남권 지진’을 25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은 커다란 힘(지체 응력) 영향으로 기존 단층대가 재활성화해 발생할 수 있는 지진성 단층 운동의 중요한 사례로 판단하고 있다. 중대형(규모 6.0 이상) 지진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포항지진 본진은 길이 7㎞·폭 3.5㎞ 크기 역단층성 주향이동 단층 운동으로 일어났다.

역단층은 상반이 하반을 위로 올라타는 것을 뜻한다.

주향이동 단층은 단층면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간단하게 보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인 단층이다.

여진은 본진 발생 이후 지난 2월 28일까지 1천350회 이어졌다.

여진 위치는 본진을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에 주로 분포했다. 경사가 거의 수직에 가까운 주향이동 단층 영향을 받았다.

다만 지난 2월 11일 발생한 규모 4.6의 여진은 여느 여진과는 다르게 경사가 동남쪽으로 기울어졌다고 지질연은 분석했다.

포항지진 전후로 일부 지역이 최대 약 6㎝ 솟아오른 것도 관찰됐다.

지질연 관계자는 "중·저주파 대역 지진파 에너지가 집중되면서 3∼5층 규모 건축물을 중심으로 피해가 컸다"며 "액상화 등 지금까지 국내 지진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던 다양한 지표변형을 일으킨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주지진 발생 현황. 2016년 9월 12일 이후 지난 2월 28일까지 총 2천232회의 여진이 있었는데, 진앙은 본진을 중심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에 분포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경주지진은 북쪽에서 26∼29도 동쪽으로 틀어진 북북동-남남서 방향에, 동쪽으로 68∼72도 경사진 주향이동 단층면에서 발생했다.

2016년 9월 12일 이후 지난 2월 28일까지 총 2천232회의 여진이 있었는데, 진앙은 본진을 중심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에 분포한다.

지질·시추조사와 물리탐사 등을 토대로 양산단층대에 속하는 부수단층 중 하나가 미끄러지는 운동을 하며 지진을 일으킨 것으로 연구자들은 추론했다.

두 지진을 정밀 연구한 결과 지질연은 한반도가 현재까지 거의 일정한 동북동-서남서 또는 동-서 방향 순수 압축 응력(stress)을 받는 것으로 확인했다.

내륙에서는 주향이동 단층 또는 역이동성 주향이동 단층이, 동해와 서해 연안은 역단층이 우세하게 재활성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