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중원 에스포항병원 척추센터장

일명 디스크라 불리는 허리 질환인 추간판 탈출증, 어르신들일수록 걸리기 쉬운 척추관 협착증, 만성 요통 등 다양한 허리 질환이 있다.

환자분들이 이런 질환에 따르는 통증을 참고 견디기보다 각 질환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아 빨리 회복해 일상으로 돌아갈 것을 권하고 싶다.

먼저 추간판 파열증과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아픈 다리를 누워서 들면 통증·저린감 등이 유발되거나 어떤 자세에서 놀랄 정도의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누르는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는 다리의 통증 및 저린감은 있지만 걸을 때 다리 저림을 느끼거나 아파서 휴식이 필요할 수 있으며 수 분간 쉬면 증상이 호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먼저 비수술적인 치료를 실시하는데 이후 별다른 차도가 없을 경우, 수술로 이어진다.

수술은 의사의 경험 및 선호도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침습의 내시경 수술을 권하며 파열된 정도와 위치, 나이, 관절 모양 등을 고려해 양방향 내시경 수술과 한 방향 내시경 수술 중 한 가지를 결정한다.

내시경 수술은 일반적인 척추수술에 비해 수술 시야 확보를 위해 근육을 당길 필요가 없어 수술 후 근육에 의한 통증 및 수술 부위의 근육 손상이 적다.

절개하는 범위 또한 1cm 정도로 가능해 절개가 적은 만큼 상처 회복이 빨라 조기에 퇴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시경 수술은 수술 중 시야 확보를 위해 생리식염수로 지속적인 세척을 하기 때문에 감염의 확률이 매우 낮다.

기존의 미세 현미경 수술은 수술 부위를 확대해서 수술을 하지만 내시경은 내시경의 렌즈를 수술 부위 바로 앞에서 관찰하며 수술하기 때문에 신경과 이를 누르고 있는 디스크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한 가지 단점이 있다면, 출혈 시 일반적인 수술에 비해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지혈에 보다 많은 신경을 쓰게 된다.

신경을 감싸고 있는 막을 경막이라고 하는데 경막이 파열되면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바늘로 봉합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는 내시경으로 봉합이 어려워 일반적인 미세현미경 수술법으로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내시경 수술을 할 때는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진 의사를 선택하길 권장한다.

한편, 수술을 하더라도 재발할 것이 두려워 수술을 꺼리는 환자들도 종종 있다.

하지만 추간판 파열이 재발 되더라도 항상 수술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다.

기본적으로 추간판 파열로 수술할 때 의사들은 파열된 추간판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이 지나가는 부위를 넓혀 놓는 수술을 추가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재발한 추간판 파열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재발하더라도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여유 공간이 확보돼 약물이나 신경주사치료를 통한 증상의 호전이 가능하다.

만약 이러한 방법으로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결국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척추 내시경수술이 신경을 누르는 파열된 추간판을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