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 10만명 전후···올해 정부 목표치 '사실상 불가능'
구조조정·인구구조 변화 원인···기재부, 추경예산 집행 등 노력

취업자 증가 폭이 5개월 연속 10만 명 전후에 머물면서 일자리 상황이 ‘쇼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 정책 등에 전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지만 올해 취업자 증가 목표치 32만 명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전망이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12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6000명(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2월 10만4000명을 기록하며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3개월 연속 10만 명대를 맴돌다가 5월에는 10만 명선 마저 무너졌다. 6월에는 10만 명 선에 턱걸이했지만 여전히 부진하다.

최근 고용 상황은 금융위기 이래 가장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당시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10만 명대 이하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000명 줄어 석 달 연속 감소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 폭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번 감소 폭은 작년 1월(-17만 명)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통계청은 경기 영향에 따라 자동차·조선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의복에서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통계에 따르면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서비스업(-10만7000명) 취업자 감소가 이어졌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4만6000명) 등에서도 줄었다.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는 7개월째 감소하며 1년 전보다 3만1000명 줄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2000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9만4000명), 금융 및 보험업(6만6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임금근로자는 11만8000명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36만6000명 증가했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가 각각 13만명, 11만7000명 줄어 발목을 잡았다.

경기에 영향을 쉽게 받는 임시직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1만5000명 감소했다. 통상 제조업이 감소하면 증가하지만 지난달은 모두 줄었다.

통계청은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의 감소 폭이 줄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최저임금 인상과 고용의 관련성을 찾아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고용률은 61.4%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고 실업자는 103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6000명(-2.5%) 감소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0%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내렸다. 올해 3∼5월 10%를 넘으며 고공행진을 했으나 지난달 공무원 시험이 끝나면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9%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내렸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 재학·수강 등에서 감소했으나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해 1년 전보다 15만6000명 늘었다.

40대 취업자 수는 구조조정의 여파로 12만8000명 감소했다. 2016년 10월 13만3000명 감소 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2분기 취업자 증가 폭은 10만1000명으로 2009년 4분기 2만5000명 감소 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상반기 취업자 증가 폭은 14만2000명으로 2009년 하반기 2만7000명 감소 이후 최저치다.

정부는 서비스·건설 고용이 개선됐으나 제조업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특히, 생산가능인구 감소 폭 확대가 취업자 증가를 계속 제약하고 있다고 고용 상황을 평가했다.

빈 과장은 “인구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작년 6월에 취업자 증가 폭이 다른 달보다 낮았던 점을 고려하면 기저효과에 힘입어 좋은 수치가 나올 것이라 예상했으나 경기 흐름이나 인구구조 변화 탓에 좋지 않은 흐름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20대 전반 취업자 수가 산업 전반에서 11만 명 감소한 것은 인구가 감소하는 세대이기 때문”이라며 “인구구조 영향은 하반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플러스 요인이 많지 않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서비스·건설 고용이 개선됐으나 제조업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생산가능인구 감소 폭 확대가 취업자 증가를 계속 제약하고 있다고 고용 상황을 평가했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월 6.6%, 5~6월 8.0% 각각 줄며 취업을 할 수 있는 인구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 일자리 주요 과제와 추가경정예산 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저소득층 소득 일자리 대책과 혁신성장 지원방안을 속도감 있게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기동 기자
이기동 기자 leekd@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 대통령실, 국회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