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硏 토론회···직업·교육 등 이슈로 수도권 등으로 이동
"다원화된 도시권·도시체계 맞는 새로운 동반발전 전략 필요"

대구경북 지역연결체계 변화 현황. 대구경북연구원 제공.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와 구미, 경산, 성주, 영천, 청도 등 대구광역도시권역에서 12만685명이 외부로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주로 직업과 교육 등을 이유로 수도권과 동남권으로 인구유출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연구원이 12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대구·경북 도시권 변화와 대응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하면서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 수도권과 동남권에서 대구광역도시권역으로 인구유입이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원생활 등 건강과 관련한 이유가 가장 컸다.

안동이나 문경, 청송, 영양, 예천, 봉화 등 북부권역에서는 직업과 주택, 교육 등의 이유 때문에 수도권과 대구광역도시권으로 빠져나가는 인구가 많았고, 수도권이나 대구광역도시권, 동남권에서 건강 등의 사유로 유입되는 인구도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2011년과 2016년 대구와 경북의 4대 도시권(대구광역도시권, 동해안권, 서부권, 북부권)의 일일통행패턴도 분석했는데, 두 도시 간 결합 구조가 더 강화됐다. 2011년에는 포항-경주, 문경-상주 간 결합구조가 뚜렷하게 보이는 데 그쳤는데, 5년 뒤에는 영주-봉화, 울진-영덕 등 두 도시 간 결합이 강화된 사례가 더 발견됐다. 2016년 2월 안동·예천으로 경북도청이 옮긴 이후 안동과 대구의 일일통행량이 늘었고, 영주와 관계가 더 강했던 안동이 대구와 관계가 더 가깝게 나타났다.

김주석 대경연구원 도시권전략연구단 북부권팀장은 “거점도시인 대구와 안동이 중심지로 부상했고, 개별 도시별로도 조금 더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조가 나타났다”며 “다원화된 도시권이나 도시체계에 맞는 새로운 동반발전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리적 접근성이나 기능적 보완성 등에 기반해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도시 간 협력 의제를 발굴해야 하고, 상호관계로 형성된 권역의 협력적 발전 전략 수립과 진행을 통해 도시 경쟁력 향상과 주민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인구 순유출의 원인이 주로 직업이나 교육 주택 등으로 나오는 데 이에 맞춘 대응전략 수립도 중요하다”고 했다.

류형철 도시권전략연구단 총괄팀장은 “행정의 경계가 사라진 지금 대도시권 지역 내 지방정부 간에 협력이 불가피하게 됐다. 미국의 전미 시장회의나 시카고 대도시권의 지방정부협의회(COG)와 같은 사례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대구시민의 맑고 깨끗한 먹는 물 문제 해결에 있어서도 최고 의사 결정권자인 지방정부 수장들이 자주 만나서 논의를 하고, 주민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 같은 일 또한 미국의 도시권 협력을 위한 전략들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주석 대구경북연구원 원장은 “대구와 경북의 상생협력 발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지금 협력의 내실화가 시급하다”면서 “결국 뭉쳐야 살 수 있다는 뜻”이라고 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