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공급과잉·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사면초가'
수도권 규제 완화로 대기업 이탈 도미노 움직임
민선 7기 이철우호, 新 성장동력 발굴 '지상과제'

경북 경제의 축인 포항과 구미지역 경제 상황이 날로 나빠지면서 새롭게 출발한 이철우 호(號)의 경북 경제 회생의 축도 여기에 맞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북은 포항 철강산업과 구미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4차 산업시대를 맞아 지역 내 지자체들이 주력하고 있는 신약·바이오 산업 역시 포항·구미를 축으로 하는 R&D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포항은 세계적인 철강 과잉공급에서부터 비롯된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미·중 및 미·EU 간 무역분쟁 등으로 인해 점점 더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특히 올해 초 갑작스레 발동한 미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철강제품 수입쿼터제와 지난 2014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철강 분야 반덤핑관세 부과 등으로 철강업계가 어려움을 겪어 왔다.

강관제품 수입쿼터제는 당장 타격을 받았다.

포항지역 주요 강관업체인 세아제강의 경우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끝에 반덤핑 관세도 최저율을 적용받은 데다 미국 시장 진입제한을 풀기 위한 현지법인 설립 등으로 대응해 왔다.

수입쿼터제(최근 3년 평균의 70%) 적용 역시 국내 생산분을 미국 현지생산으로 돌리거나 새로운 시장 개척 등으로 해소해 회사 전체적으로는 생산·판매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포항공장 생산분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반면 넥스틸은 전체 생산량의 90%가량을 미국 수출시장에 의존하다 수입쿼터제가 적용된 데다 앞서 높은 반덤핑관세율까지 받은 터라 사면초가나 다름없다.

넥스틸은 생산공장을 미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으로서는 넥스틸이 미국으로 공장을 옮길 경우 지역 경제 미치는 영향이 만만찮지만 현재로써는 속수무책이나 다름없다.

포항지역 최대기업인 포스코 역시 그동안 기가스틸 등 비경쟁 고부가제품군 판매량을 늘리면서 보호무역장벽을 헤쳐왔지만 최근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까 우려된다.

미국이 아니라 중국에서의 문제다.

중국은 세계 철강 생산 및 소비의 절반을 차지하는 철강강대국으로 미·중 무역분쟁으로 미국 시장길이 막힐 경우 내수용으로 돌릴 수밖에 없어 중국 내 포스코 생산현장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구미 역시 상황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지난 2008년 수도권 규제가 완화되면서 지역을 이탈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데다 섬유·전기·전자산업 사양화 등으로 인해 경영악화에 내몰린 업체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 구미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06년 태광산업 면방공장이 가동중지 후 매각을 검토 중이며, 동국무역·한국합섬·태화섬유 등 섬유업계가 경영악화로 인해 매각추진 또는 임대전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휴대폰 부품업체인 참테크, 동박적층판 생산업체인 두산, TV·영상기기생산업체인 대우일렉트로닉스 등 전기·전자업체 역시 경영악화로 매각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 올해 들어 국내 최대기업인 삼성전자의 네트워크 사업 부분을 수원으로 이전하기로 하면서 분위기가 냉각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수원공장을 운영 중인 것도 사실이지만 수도권 규제 완화 이후 대기업들이 수도권 이전을 꾀하고 있어 삼성전자의 이번 조치가 이들 대기업에 도미노 현상이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국내 최대 전자산업단지였던 구미마저도 이 같은 상황을 맞으면서 인구 42만 명을 정점으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데다 포항시 역시 인구 53만명 을 정점으로 한 뒤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경북을 대표하는 이들 두 도시가 인구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는 만큼 도내 전 지역이 비슷한 양상이라는 의미다.

따라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캐치프레이즈로 내건 경북 이철우 호의 지상과제는 수도권 규제 완화 등 집토끼를 잃을 수 있는 제도적 문제 해결 방안과 함께 새로운 성장동력원을 찾아내는 것이 급선무다.

포항·경주와 함께 자동차산업 쇠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주·경산·영천지역 자동차부품업계 역시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

자동차는 미국이 철강제품과 함께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품목이어서 고율의 관세 부가 시 수출시장에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