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국내소비 1.6% 늘어날 때 해외는 10.1% 급등
내수시장 활기 찾으려면 국내 관광산업 경쟁력 키워야

내수경기를 좌우하는 국내 소비는 정체된 반면, 해외 소비는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11∼2017년 가계의 해외소비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국내 소비가 연평균 1.6% 증가하는 동안 해외소비는 연평균 10.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또 2011년 한 해를 제외하고는 해외소비 증가율이 국내 소비 증가율보다 높았다.

국민계정에서 가계의 국내 소비지출 연평균 증가율은 1990년대 5.7%에서 2000년대 2.9%, 2010년대 1.6%로 점차 감소한 반면, 해외소비지출은 1990년대 6.6%에서 2000년대 8.4%, 2010년대 10.1%로 늘어났다.

그 결과 1970년대 해외소비지출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에 불과했으나 점진적으로 증가해 2017년에는 4.5%까지 늘어났다.

한경연은 국내소비지출의 증가는 제한적인 반면, 최근 들어 해외소비지출의 증가율이 크게 늘어나 상대적으로 해외소비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이 국제수지의 여행부문 서비스수지를 분석한 결과 유학연수 지급의 비중은 감소하고 지급액의 증가세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수지의 일반여행 서비스수지는 유학연수와 일반여행으로 구분되는 점에 비춰볼 때 결국 해외소비 급증의 주요 원인은 해외여행에 따른 지출로 지목됐다.

일반여행의 수입보다 지급이 빠르게 늘어난 결과 2011년부터 2017년 사이 일반여행 서비스수지 적자는 4배 이상 커졌다.

한국 관광산업의 경쟁력은 2010년 입국자가 각각 880만 명, 861만 명으로 비슷했던 한국과 일본의 현재 상황을 비교할 때 극명하게 드러난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2017년 입국자는 1334만 명으로 늘었으나 유입보다 유출이 빠르게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도 2010년 84억 달러에서 2017년 172억 달러로 2배 이상으로 늘었다.

반면 일본은 2017년 입국자 수가 2869만 명으로 급증하면서 여행수지가 2010년 1조2864억 엔 적자에서 2014년 흑자로 돌아선 이후 2017년에는 1조9987억 엔의 흑자를 내 한국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한경연은 ”해외소비 증가는 소득 수준 향상과 환율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며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이는 대체관계에 있는 국내여행 산업과 해외여행 산업 간의 경쟁에 따른 국내·외 소비자들의 선택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내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근본적으로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의 선택을 받도록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마케팅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기동 기자
이기동 기자 leekd@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 대통령실, 국회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