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년간 잠들어 있던 사료 '유정희'·'정은우' 역사가에 발견돼
레지 신부 프랑스어로 사료 정리···한국고대사 역사계 자산 기대

고조선은 한국사의 시작을 알린 국가이지만, 사서에 그 실체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신화’ 혹은 ‘전설’의 세계에 묶여있었다. 우리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나라임에도 제대로 된 ‘국가(state)’의 취급을 받지 못했고, 그 오랜 연원을 강조한 단군신화의 이야기는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여겨졌다.

한국역사학은 그렇게 오래도록 고조선을 고대인의 상상 속에 가두어놓고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작은 나라,’ ‘중국문명의 거대한 물결에 이끌려 수동적으로 역사 속에 들어선 나라,’ ‘한반도의 서북 일부만을 통치한 보잘 것 없는 나라’의 이미지를 심기에 바빴다.

이 책은 이런 기존의 통설을 지금까지 제대로 발굴되지 않은 새로운 사료들을 통해 혁명적으로 뒤집고 있다. 18세기 예수회 선교사로 청(淸) 제국에 포교를 왔던 프랑스 지식인 쟝 밥티스트 레지(1663~1738) 신부는 한국의 역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고, 중국 황실 서고에 보관되어 있던 중국측 사료들을 통해 우리가 지금까지 전혀 알지 못했던 고조선의 역사를 적어 놓았다.

무려 300년이라는 시간동안 어둠속에서 잠들어 있던 이 사료는 ‘유정희’와 ‘정은우’라는 두 역사가를 만나 이제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것은 일연이 전하는 단군신화의 ‘오래된 고조선’이 단순히 신화가 아닌 역사적 사실이라는 전무후무한 최초의 증거이며, 고조선이 만주를 기반으로 한반도를 아우르는 강력한 나라였다는 보다 명확한 증거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런 레지 신부의 기록이 200년 후인 20세기 초 한국의 독립운동가였던 김교헌, 박은식, 유근 등이 써내려간 한국 고대사의 기록과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것이다. 몇 백년의 세월을 뛰어넘은 이런 기록의 일치는 고조선과 관련된 한국고대사가 이제 처음부터 다시 쓰여져야 한다는 것을 전해주고 있다.

서장에서 저자들은 고조선 연구의 쟁점들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본문에서는 해제를 통해 레지 신부의 프랑스어 사료를 저자들의 한국과 중국고대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들로 명쾌하게 정리하고 있다.

또한 한국고대사 자체를 새롭게 쓸 수 있는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역사학계의 엄청난 자산이 될 것이다.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로 1698년부터 중국선교에 참여한 쟝 밥티스트 레지 선교사는 빼어난 지리·수학·천문학적 지식을 활용해 동아시 아의 지리를 파악하고 이를 유럽에 전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 특히 청나라 강희제의 명에 따라 기존의 중국지도를 개량하기 위해 만들어진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 제작에 참여해 다른 예수회 선교사들과 함께 중국 각지를 누볐다. 이 과정에서 그는 조선에 대한 그의 관심을 글로 남겨 유럽에 보냈는데(주로 당시 조선왕조의 기원과 역사,문화 등), 이는 18세기 유럽 지식인이 어떻게 조선을 바라보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그는 그의 전문분야라 할 수 있는 천문관측과 지도제작 이외에도 중국 의 역사와 철학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남현정 기자
남현정 기자 nhj@kyongbuk.com

사회 2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