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송도동과 경주시 황오동, 구미시 원평동 등 경북지역 8곳이, 대구시는 북구 산격동 등 7곳이 2018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정부는 31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3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올해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는 유형별로 우리동네살리기 17곳, 주거지지원형 28곳, 일반근린형 34곳, 중심시가지형 17곳, 경제기반형 3곳이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9곳으로 가장 많고 전남, 경북, 경남이 각 8곳, 서울과 부산, 대구, 강원, 전북이 각 7곳, 충남 6곳, 인천과 광주 각 5곳, 울산과 충북 각 4곳, 대전 3곳, 제주와 세종 각 2곳 등이다.

이들 지역에서 제시된 총사업비는 국비 9738억 원을 포함해 지방비, 민간투자 등 총 7조9111억 원 규모다.

경북지역은 △포항시 송도동 경제기반 ICT 기반 해양산업 플랫폼 포항 △경주시 황오동 중심시가지 이천년 고도(古都) 경주의 부활 △구미시 원평동 중심시가지 도시재생:구미(龜尾, 口味)를 당기다 △영천시 완산동 일반근린 사람과 별빛이 머무는 완산뜨락 △경산시 서상동 일반근린 서상길 청년뉴딜문화마을 △의성군 의성읍 일반근린 ‘마늘을 사랑한 영미’ 활력 넘치는 희망의성 △성주군 성주읍 일반근린 꿈과 희망이 스며드는, ‘깃듦’ 성주 △포항시 신흥동 우리동네살리기 함께 가꾸는 삶터, 모갈숲 안포가도 마을 등 8곳이다.

대구시는 △북구 산격동 중심시가지 청년문화와 기술의 융합 놀이터, 경북대 혁신타운 △북구 복현1동 우리동네살리기 피란민촌의 재탄생, 어울림 마을 福현 △중구 포정동 중심시가지 다시 뛰는 대구의 심장! 성내 △중구 동산동 일반근린 동산과 계산을 잇는 골목길, 모두가 행복한 미래로 가는 길 △달서구 죽전동 일반근린 죽전(竹田) 대나무꽃 만발 스토리 △서구 비산동 주거지지원 스스로, 그리고 더불어 건강한 진동촌 백년마을 △남구 이천동 우리동네살리기 시간 풍경이 흐르는 배나무샘골 등 7곳이다.

도시재생 뉴딜은 사업 종류와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살리기(5만㎡ 이하), 주거지지원형(5만∼10만㎡), 일반근린형(10만∼15만㎡), 중심시가지형(20만㎡), 경제기반형(50만㎡) 등 5개 유형으로 나뉜다.

주거 환경 개선에 초점이 맞춰진 우리동네살리기와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은 광역지방자치단체가 기초단체의 신청을 받아 후보지를 정하고, 대형 사업인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은 국토교통부가 직접 대상을 정한다.

최종 선정은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이뤄진다.

정부는 작년 시범사업지로 68곳을 선정했으나 올해는 지방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 등에 따른 도시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지를 99곳으로 대폭 확대했다고 밝혔다.

우리동네살리기,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 사업 지역에서는 주차장과 도서관 등 공용시설이 건립되고 소규모 정비 사업도 벌어져 주거 환경이 개선된다.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은 쇠퇴한 산업기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등 일자리를 창출하고 도시경쟁력을 회복하는 사업이다.

올해 선정된 도시재생 사업지 중 80곳은 국토부 외 관계부처 연계사업 382개를 포함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와 경북 포항시는 항만재개발 사업과 도시재생 뉴딜을 연계해 포항항 구항의 기능 이전에 따른 항만재개발 지역을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간으로 조성한다.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 중 공공기관 제안 사업의 경우 8개 공공기관이 제안한 15곳이 선정됐다.

정부는 도시재생 지역에 청년 창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어울림 플랫폼과 복합커뮤니티 공간 등 혁신공간을 조성하고, 저렴한 임대료로 지역 영세상인을 지원하는 공공임대상가 32곳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역 내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지역 청년의 창업을 지원하고 인근 환경을 개선하는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사업도 대구 북구 경북대(중심시가지형), 광주 북구 전남대(중심시가지형) 등 4곳이 선정됐다.

공공임대 주택은 64곳에서 6천265호를 조성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소규모 정비사업과 집수리사업을 62곳에서 3천408호 규모로 시행한다.

정부는 뉴딜사업 선정지 중 전략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곳은 올해 하반기부터 선도지역으로 지정해 전략계획을 생략하고 바로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게 할 방침이다.

실현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를 거쳐 내년 2월 활성화계획이 나와 사업내용이 구체화하면 사업별 총사업비와 국비 지원 예산이 확정된다.

정부는 뉴딜 사업지의 부동산 시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며, 사업 추진이 부진하거나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경우 사업 선정을 취소하거나 이듬해 사업 선정 과정에서 불이익을 줄 계획이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