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 대학보다 100년 이상 앞선 사립 고등교육기관

소수서원 항공사진
한국의 서원은 400여 년을 지속해 온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 자산이자, 정신문화의 산실이자 예학의 산실이다. 나아가 겸손과 절제를 추구하는 선비정신과 자연과 더불어 심신을 단련하고 수양하며 학문연구를 통해 인류애를 실천하고자 한 자아 성찰과 자기 고뇌의 현장이다.

한국의 서원은 현재 600여 개가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소수서원 백운동 전경
그중에서도 서원 유산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잘 유지하는 곳은 많지 않다.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요구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갖춘 한국의 서원 9곳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서원 9곳은 내년 7월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번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 등재 재추진을 계기로 한국 서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살펴본다.

2018년 선비문화축제 유교성지 선포식

△서원은 학식과 인품이 있고 재물을 탐하지 않으며 원칙을 지키는 삶을 살아온 선비들의 배움터.


“불의에 굴하지 않고 학문과 덕을 쌓아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올바른 길만을 걸어가겠노라” 학식과 인품이 있고 재물을 탐하지 않으며 원칙을 지키는 삶을 살아온 선비.

우리나라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정신문화라고 한다면, 단연코 ‘선비정신’이 꼽힌다. 선비정신은 학문은 물론 생활 전반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이상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 선비를 길러내는 역할을 하던 곳이 바로 ‘서원’이었다.

서원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선현에 대한 제사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교육의 기능이었다.

소수서원유림간담회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서원 가운데서도 많은 사람이 단연 으뜸으로 꼽는 곳은 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이다. 많은 이들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도산서원을 떠올리지만, 소수서원은 도산서원보다 앞선 시기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이자 사립고등교육기관이다.

실제로 소수서원은 미국 하버드대학보다 100년 이상이 앞선 역사를 가지고 있다.
주세붕초상
소수서원은 1541년(중종 36) 7월에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周世鵬)에 의해 건립됐다. 소수서원의 창건 당시 이름은 백운동 서원으로, 우리나라에 성리학을 최초로 들여온 회헌 안향 선생을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선생의 연고지에 사묘를 건립하고 영정을 봉안해 백운동 서원을 건립했다. 서원을 세운 것은 주세붕 선생이지만 국가로부터 공인을 받고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548년 10월 풍기군수로 부임한 퇴계 이황의 노력 덕분이었다.
소수서원현판
이황은 풍기군수를 사직해 자신이 사직하게 되면 백운동 서원이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할까 걱정해 왕에게 편액을 내려줄 것을 청했던 것이다.

퇴계는 1549년 1월에 경상도관찰사 심통원(沈通源)을 통해 백운동서원에 조정의 사액(賜額)을 바라는 글을 올리고 국가의 지원을 요청했다.

명목은 서원의 이름을 지어달라는 것이었지만, 궁극적으로는 경제를 포함한 여러 차원에서 도움을 요청했던 것이었다. 퇴계 이황 선생의 상소문을 본 어린 명종이 우리나라에 서원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느끼게 됐고, 대제학 신광한(申光漢·1484∼1555)에게 서원의 이름을 짓게 해 “이미 무너진 유학을 다시 이어 닦게 했다(旣廢之學 紹而修之)”는 뜻을 담은 ‘소수’로 결정했다.

1550년(명종 5) 2월에 친필로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고 적은 편액을 서원에 하사하고 아울러 사서오경 등의 서적을 내렸다. 이때부터 백운동서원은 소수서원으로 불리었고, 최초의 사액서원이라는 영예를 얻게 됐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아는 ‘소수서원(紹修書院)’이다.

소수서원은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면서, 조정에 의해 서원이 성리학의 정통성을 인정받는 계기가 된다. 사액을 내려 국가가 서원의 사회적 기능을 인정한다는 것은, 곧 서원이 갖는 중요한 기능인 선현의 봉사(奉祀)와 교화 사업을 조정이 인정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회헌선생 영정
“풍기의 백운동서원은 황해도 관찰사 주세붕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창립한 것인데, 그 터는 바로 문성공 안향이 살던 곳이고, 그 제도와 규모는 대게 주문공 주희가 새운 백록동을 모방한 것입니다. 무릇 학령을 세우고 서적을 비치하며 전량과 공급의 도구를 다 갖추어서 인재를 성취시킬만합니다. 이황이 편액과 서적, 토지, 노비를 하사해 줄 것을 청했는데 다 따라줄 수는 없으나 편액과 서적 등 2~3건만이라도 특명으로 내려보낸다면, 먼 곳의 유생들이 반드시 고무 감격해 흥기할 것입니다. - 명종 5년(1550년) 2월 11일 (영의정 이기, 좌의정 심연원, 우의정 상진, 예조판서 윤개)

△문화의 새로운 아이콘 ‘선비’ 급부상…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시대정신으로 ‘선비정신’ 주목

소수서원은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면서, 조정에 의해 서원이 성리학의 정통성을 인정받는 계기가 된다. 사액을 내려 국가가 서원의 사회적 기능을 인정한다는 것은, 곧 서원이 갖는 중요한 기능인 선현의 봉사(奉祀)와 교육 사업을 조정이 인정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소수서원을 시작으로 경상도에 많은 서원이 잇달아 세워졌다. 조선시대에 세워진 서원 417개소 중 173개소가 경상도에 세워졌다. 그 서원 중 사액서원은 200여 개였는데, 그중 56개가 경상도에 집중돼 있었다.
2018년 선비문화축제 유교성지 선포식
오늘날까지도 경상도가 전통문화와 사상이 가장 많이 전해지고, 지켜지고 있는 그 근간에는 소수서원(紹修書院)을 중심으로 한 경상도의 서원들이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소수서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자리 잡게 돼 고종 때 전국의 서원이 철폐될 때도 철폐되지 않은 47개소의 서원 중 하나로 남게 됐다. 소수서원은 이후 신학문이 들어와 서원에서 교육의 기능이 다 할 때까지 약 4000여 명의 원생들이 교육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며, 이 지역을 대표하는 수많은 인물을 배출시켰다.

신재가 지은 소수서원 원규에는 첫째, 제사를 정성으로 받들 것, 정성으로 받들지 않으면 음향하지 않는다.
경자바위
둘째, 어진이을 예우할 것, 예우하지 않으면 어진이가 오지 않는다. 셋째, 사당을 수리할 것, 수리하지 않으면 반드시 무너진다. 넷째, 창고를 잘 준비할 것, 준비하지 않으면 물자가 떨어진다. 다섯째, 서책을 점검할 것, 점검하지 않으면 반드시 흩어진다. 이 다섯 가지는 하나라도 폐해서는 아니 된다.

소수서원의 원규만 보아도 얼마나 철저하게 선비정신을 지키고자 했는지를 알 수 있다.

소수서원의 이 같은 정신은 수많은 선비들을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전해져 지금까지도 많은 유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되고 있다.
경렴정
소수서원 학자수
서원 안에는 회헌영정(국보 제111호),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제59호),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보물 제485호), 주세붕 영정(보물 제717호), 문성공묘(보물 제1402호), 강학당(보물 제1403호), 소수서원(사적 제55호), 서총대친림연회도(유형 제238호), 명종어필 소수서원현판(유형 제330호), 소수서원소장 판목(유형 제331호)등의 문화재가 보존되고 있다.
강학당
취한대
서원에 입구에 들어서면 오늘날 교실의 역할을 하는 강학당과, 직방재와 일신재라는 현판이 걸려있는 공간이 나타난다.

직방이란 말은 ‘안은 경으로 곧게 다스리고 밖은 의로써 바르게 하라. 공경과 의로움이 섰으니 덕은 외롭지 않다’ 는 뜻으로 마음을 다스리는 인성교육에 주안점을 두었던 선비교육의 뜻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 밖에도 성생단, 지락재, 학구재, 전사청, 장서각, 영정각, 사료관등의 건물과 서원에서 소장돼 오던 많은 고서와 고문서 등 많은 유적 유물이 있다.

소수서원 당회 및 제례시연

△살아있는 역사.


소수서원 곁에는 선비정신과 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기 위한 공간인 소수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소수서원에 이어져 온 유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보다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에 심혈을 기울여 후손들에게 소수서원의 선비정신이 현대에도 이어져 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소수서원 외국인 선비문화체험
이와 함께 소수서원 인근에 선비들의 생활상을 체험할 수 있는 선비촌과 선비정신을 배우고 익히는 공간인 한국선비문화수련원을 건립해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정신문화이자 인성을 올바르게 이끄는 가치관이 돼주는 선비정신을 계승해 나가고 있다.
소수서원 당회 및 제례시연
선비정신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속에 이어져 내려오는 귀중한 유산이다.

소수서원은 박제된 유물이 아니라 현재까지도 선비정신을 계승, 교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공간이자, 우리의 귀중한 유산의 지킴이 노릇을 하고 있는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다.
소수서원 사마선비과정
소수서원(紹修書院)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돼야 하는 이유는 매우 명료하다.

세계유산이 요구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뿐만 아니라, 죽은 역사가 아니라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선비정신’의 장이기 때문이다. 2019년 7월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소수서원(紹修書院)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나라의 보물이 세계의 보물로 인정받는 시간이 머지않았다.

관련기사
권진한 기자
권진한 기자 jinhan@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