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지진 불안에 떨고 있는 경북 지역민들을 배신했다. 지역민들은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의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을 연거푸 겪으면서 아직도 지진 트라우마를 앓고 있다.

지진체험센터를 포함한 국민안전체험관이 강진을 직접 겪어 피해와 고통을 온몸으로 입은 경북 포항과 경주가 아닌 다른 시·도 지역에만 들어선다는 소식에 경북지역 시민들이 소외감과 함께 분노를 느끼며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020년까지 소방안전교부세 680억 원을 들여 대형·중형·특성화 국민안전체험관을 서울을 비롯한 전국 8개 시·도 지역에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대형 체험관은 서울·경기·광주 등 3곳, 중형 체험관은 경남·충북·제주 등 3곳에 건립할 예정이다. 특성화 국민안전체험관도 인천과 울산 2곳에 건립된다. 지진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경북 지역에는 중 대형은 물론 특성화 체험관 조차 하나 배정되지 않았다. 이러고도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정부라고 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안전 체험 교육 시설은 물론 어떤 시설이든 수요가 있는 곳, 상시적 위험이 있는 곳에 두는 것이 상식일 것이다. 또한 수요자 측면에서 인구 밀도로 봐도 전국에 8곳이 선정됐다면 경북 동해안 지역에 하나의 시설 정도는 들어와야 마땅한 것이다. 그런데도 행안부의 계획에는 강진이 일어난 경주와 포항에는 지진체험센터 건립은 아예 빠져 있다.

대구·경북에는 지진 대비 특성화 안전체험관이 한 곳도 없고, 이미 설치된 일반 안전체험관만 대구에 2곳, 경북에 7곳이 있다. 이들 시설은 최신 안전체험관과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시설이 열악한 상황이다.

이 같은 현실에서 행안부가 짓기로 한 안전체험관에 경북 지역이 배제된 데 대해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말들까지 나오고 있는 지경이다. “지진이 서울이나 전라도에 났더라면 이렇게 했겠나”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역민들은 경북지역을 정치적으로 소외 시키거나 정부가 의도적으로 고립시키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소외감을 표출하고 있다.

포항 지진 발생 당시 이낙연 국무총리가 직접 찾아와 지역민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안전 시설의 건립에는 지역이 제외됐다. 당시 김부겸 행안부 장관도 세 번이나 연거푸 방문해서 “지진 피해 고통 포항 혼자 감당해선 안된다”면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행안부가 추진하는 안전체험관 시설, 그것도 전국에 8곳이나 선정하면서 경북을 제외했다. 이러니 지역민들의 입에서 배신이 나오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