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역, 옛 정취 되살려…관광자원화·경북 정체성 회복 박차

구 영주역 전경(1973년 이전). 영주시
1. 홍콩의 근대문화유산보전

2. 군산과 목포 등 우리나라의 근대문화유산 보존

3. 포항, 경주 등 경북지역의 근대문화 유산 보존과 문제점

4. 근대문화유산 보존에 대한 인식전환과 지역 문화재 정책 방향



문화재청은 지난 8월 근대문화유산의 입체적·맥락적 보존과 활용을 통한 도시 재생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선(線)·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 제도를 새로 도입하고, 처음으로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등 3곳을 문화재로 등록 고시했다.

이로써 영주시는 근대문화유산 보존의 모범도시라고 할 수 있는 전남 목포시, 전북 군산시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근대역사문화공간은 근대 시기에 형성된 거리, 마을, 경관 등 역사문화자원 집적된 지역을 뜻한다.

새로 도입된 ‘선(線)·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제도는 기존 ‘점’(點) 단위 개별 문화재 중심의 단선적·평면적 보존관리에 따른 정책의 연계성·통합성 결여, 가치 활용도 제약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근대문화유산이 도시재생의 핵심자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그 제도적 장점과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사업대상지. 영주시
영주시 두서길 광복로 일원의 근대역사문화거리(2만6377㎡)는 근대 시기 영주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 공간으로, 영주역의 생성과 더불어 그 배후에 만들어진 철도관사를 비롯해 정미소, 이발관, 근대 한옥, 교회 등 지역의 근대생활사 요소를 잘 간직하고 있어 역사 거리로서 보존과 활용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된다.
영주시 근대한옥
영주 제일교회
이 거리 내의 ‘구 영주역 관사’, ‘풍국 정미소’, ‘영주 제일교회’ 등 6건은 별도의 문화재로 등록했다.

영주, 목포·군산의 근대역사문화공간 3곳은 문화재청이 역점 구상 중인 역사문화자원 기반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공모사업에서도 시범 사업지로 선정됐다.

문화재청은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이들 지역의 사업내용 등에 대한 최종 평가를 거쳐 2019년부터 구역 내 문화재 보수정비, 역사경관 회복 등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이들 지역이 과거와 현재, 문화재와 지역이 공존하는 특화된 명소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선(線)·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을 통해 도시재생에 속도를 내는 영주시와 문화재청, 경상북도의 근대문화유산 정책을 살펴본다.



△영주시

영주시는 근대도시 형성과 발전의 계기가 된 구 영주역세권 주변에 산재한 건축물을 보존·가치 활용해 철도 부설이 가져온 내륙 소도시의 발전과 생활상을 이해하는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재생하고자 한다.

1942년 중앙선 개통과 더불어 건축된 철도역사와 그 배후 주거지는 영주 근대도시의 형성과 발전의 계기가 됐다.
영주 관사골 관사
개통 이전부터 건축(1936년)되기 시작한 관사촌(현 두서길 일대)은 관사골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이는 철탄산 아래 숫골, 수용소골, 신사골, 향교골, 사례골 등으로 이어지는 근대주거지 형성의 시발점이다.
1950년대 영주역전 시장 등 구도심 모습. 영주시
구 영주역 주변(현 영주로, 중앙시장)에 형성된 역세권 원도심과 철탄산 아래 주거지역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광복로(34번 국도) 주변은 근린생활시설들과 종교시설 그리고 군청 등의 공공건축물이 들어서면서 근대 가로가 형성됐다.

1973년 영주역이 휴천동 신시가지로 이전하고 1980년 영주시청이 시 승격과 더불어 이전한 후 이 지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관사골과 광복로 일대는 고려말·조선 초 시기 유적을 비롯해 광복, 6·25전쟁 전후의 근대건축물이 다수 위치하는 곳으로 영주 근대도시 형성과 발전의 계기가 된 장소이기도 하다.

근대건축유산들이 밀집한 이 지역은 최근 10여 년 동안의 국가 지원 사업을 통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곳이지만,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지역주민의 가치인식 부족으로 크게 훼손되고 있어 보존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일제강점기 수탈의 역사 등 다크 투어리즘(잔혹한 참상이 벌어졌던 역사적 장소나 재난·재해 현장을 돌아보는 여행)에 입각한 근대건축물 활용과 차별화해 근대건축물과 근대도시의 형성을 긍정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침체한 지방 소도시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지역 역사문화자원 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영주 풍국정미소
△문화재청과 경상북도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과 개발 간의 갈등으로 훼손·멸실이 우려되는 근·현대문화유산의 보호체계 강화 필요성을 인식한 문화재청은 근·현대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근·현대 문화유산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등 문화재 보호법 한계 극복을 위한 개별법 제정 추진 중이다.

2019년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서울 구 서대문 형무소,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 보수 등 41개소에 대한 항일독립 문화유산도 보수·정비한다.

이어 임시정부 관련 문서(임시헌장, 독립강령 등), 항일독립운동가 육필원고 및 생가지 등 항일 독립 등록문화재에 대한 정기 조사를 하고 있다.

안동 임청각, 남원 읍성 북문 등의 복원으로 지역 역사문화 정체성 회복에도 나서고 있다.

또한 도시재생 뉴딜 사업과 연계한 근·현대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와 전남 고흥군의 소록도 문화유적 보존·정비 MOU 체결, 한국철도공사와의 간이역 등 철도 산업유산 보존·활용,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 연계성 강화 등 관련 전문기관 업무협약 체결로 근·현대문화유산 보존·활용방안을 다양화한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경상북도의 문화재는 총 2059건으로 678건(32.9%)의 국가지정문화재와 788건(38.3%)의 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555건(27.0%), 등록문화재 38건(1.8%)이 있다.

경상북도 내 문화재는 한국 불교문화의 산실인 경주와 조선 시대 유교문화의 중심지인 안동 등 일찍부터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여온 지역에 집중된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문화재자료(555건, 27.0%), 유형 문화재(442건, 21.5%), 보물(338건, 16.4%)이 다른 문화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지만, 등록문화제는 38건(1.8%)으로 적다.

경북도가 근대문화유산 조사 및 보수·정비와 비지정 근대문화유산 조사 및 등록을 정책과제로 삼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아쉬운 실정이다.

건축문화재분과 위원 및 전문위원도 고건축과 전통건축 전문가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근대문화유산의 경우 문화재청이 관리하는 부문이 많다”며“앞으로 문화유산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가와 요구 다양화로 단순 탐방이 아닌 재미와 흥미를 갖춘 문화유산에 욕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문화유산의 품격 제고를 통한 관광 자원화와 및 경북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