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의 백화헌(百花軒) 주인이었던 고려말 시인 이조년(1269~1343)은 화단에 여러 꽃을 심고 있는 것을 보고 다정가(多情歌)를 불렀다. “이 꽃 저 꽃 더 심어 뭐하나(爲報栽花更莫加 위보재화갱막가) 꽃이 백 가지면 됐지 더 심어 뭐하겠나(數盈於百不須過 수영어백불수과) 눈 속 매화 서리 속 국화 말고는(雪梅霜菊淸標外 설매상국청표외) 울긋불긋 핀 꽃 많기만 할 뿐이네(浪紫浮紅也漫多 낭자부홍야만다)”

시인들은 시 속에 뼈를 넣어 둔다. 무심히 자연을 노래하는 듯하지만 인생사의 골갱이가 그 속에 들어 있어야 높은 격조의 시가 되는 법이다. ‘다정가’라지만 백 가지 꽃 중에 매화와 국화에 애착을 갖는 것은 얼어붙은 눈 속이나 매서운 서리에도 변하지 않는 절개와 항상심을 잃지 않음을 높이 쳤기 때문이다. 이 시는 당시의 가치관을 감안 하면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 시의 뼈인 셈이다.

이조년이 좋아한 국화는 귀거래사를 쓰고 속세를 떠난 중국 동진(東晉) 시인 도연명의 꽃이라지만 조선 중기 문신 면앙정 송순의 꽃이기도 하다. 꽃을 좋아하는 마음이야 도연명, 송순이나 우리 일반인이 다르지 않겠지만 말이다.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송순이 쓴 ‘자상특사황국옥당가’를 배우면서 송순도 송순이지만 꽃을 특사(특별히 준)한 명종이 멋진 마음을 가진 임금이라 생각했다. 가을 어느 날 궁궐 정원에 핀 노란 국화를 금분에 담아 선비들이 공부하는 옥당에 내려보내 시를 짓게 했다니 말이다. “풍상(風霜)이 섯거친 날에 갓 픠온 황국화(黃菊花)를, 금분(金盆)에 가득 다마 옥당(玉堂)에 보내오니, 도리(桃李)야 곳인냥 마라 님의 뜻을 알 괘라” 이 시가 변하지 않는 선비의 지조를 노래했다지만 국화꽃 핀 가을날 임금과 신하 사이의 이심(以心)과 전심(傳心)이 아름답다.

오늘의 정치도 이렇게 꽃으로 통할 수는 없을까. 품격 없고 가시 돋은 말들을 서로 주고 받을 것이 아니라 꽃을 전하고 시로 화답할 수는 없을까. 포항의 뱃머리마을 큰 밭에는 국화꽃이 만발했다. 전국 곳곳에서도 국화꽃 잔치가 벌어지고 있다. 이 가을 노란 국화꽃 화분 하나 그 사람에게 전해 봐야겠다.

이동욱 논설실장 겸 제작총괄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