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한 여성이 주당 근로시간을 1시간만 늘려도 임신할 확률이 낮아진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미혼여성의 경우, 야간 또는 주말근무를 하면 결혼할 확률이 떨어졌다.

국회예산정책처가 30일 발표한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연령·학력·임금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 기혼여성의 주당 총 근로시간이 1시간 증가했을 때 1년 이내에 임신할 확률은 0.34%p 낮아졌다.

이는 2007년부터 2014년까지 5차에 걸쳐 여성근로자의 근로실태, 관리직 진출 경로, 일·가정 양립실태, 출산 관련 의사결정 등을 조사한 ‘여성관리자패널조사’를 분석한 결과다.

특히 근로시간이 1시간 늘어나는 경우 대리급 이하 직급 여직원의 임신 확률은 0.43%p 낮았고 첫째 자녀일 경우 1%p까지 하락했다.

근무시간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당 총 근로시간의 증가는 미혼여성의 결혼확률에는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주말 혹은 야간 등 정해진 근무시간 외에 회사 일을 하는 경우에는 미혼여성이 1년 이내 결혼할 확률이 3.7%p 떨어졌다.

반면 유연근무제의 일종인 시차출퇴근제도가 있는 곳에서 근무하는 여성들의 결혼확률은 7.1%p 증가했고, 재택근무 제도가 있는 경우 결혼할 확률은 10%p나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결혼의 증가가 곧 출산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결혼을 결정하는 데 도움되는 시차출퇴근제, 재택근무제도 등이 활성화된다면 출산·결혼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일·가정 양립을 힘들게 하는 장시간 근로시간은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한국 취업자의 연간 근로시간은 2024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국가 중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