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사망률·재입원율 2배가량 차이나
건보공단 분석···문경, 병상 공급량 경북 1위

종합병원 분포에 따라 지역별 사망률과 재입원율이 2배가량 차이 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공단은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자원의 공급과 의료이용, 건강 결과를 분석하는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KNHI_Atlas) 구축 연구’를 시행하고, 31일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급성기 병상 수는 2016년 기준 인구 1000명당 6.2개로 OECD 평균 3.3개보다 1.9배 많았다.

병상 수는 많았으나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병상이 50% 이상인 OECD 국가와 반대로 우리나라는 300병상 미만 중소형 의료기관 병상이 전체의 69%로 중소형 병원 중심의 공급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입원의료이용 행태·인구수와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설정한 56개 중진료권 중 인구 1000명당 급성기 병상이 가장 많은 지역은 9.9개, 가장 적은 지역은 3.6개로 진료권 간 2.8배의 격차를 보였다.

경북에서는 문경이 가장 많은 병상공급량을 기록했고 안동과 대구도 전국 평균(6.2)보다 많았다.

반면 포항, 김천, 경주, 구미에는 평균보다 적은 병상이 공급되고 있었다.

경북 내 인구 1000명당 입원이용량이 가장 많은 곳은 김천(275건), 가장 적은 곳은 구미(170건)로 1.6배의 격차가 발생했다.

김천의 입원이용량은 전국 중진료권 56곳 중 7위를 기록해 지역 내 병상 수에 비해 입원환자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김천은 전국에서 300병상 이상을 보유한 종합병원이 하나도 없는 11개 지역 중 1곳이다.

경북에서 가장 높은 중증도보정 사망비를 기록한 곳은 포항(1.3)이었고 구미(1.21), 문경(1.2)이 뒤를 이었다.

특히, 경북지역에서 3번째로 많은 사망비를 기록한 문경에는 지역거점 의료기관이 한 곳도 존재하지 않아 이를 해결할 의료 의료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더불어, 문경의 중증도보정 재입원비율은 1.15로 전국 중진료권 중에서 10번째로 많은 재입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험공단은 이번 연구를 통해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1개의 병상이 추가됐을 때 사망비는 9% 줄고 재입원비는 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중소병원에 집중된 급성기 병상 배치를 OECD 평균 수준으로 전환할 경우, 입원비와 재입원비는 각각 23%와 20%씩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진료비는 9.2% 줄어 5조9000억원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를 주도한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단순히 병상을 늘리는 게 능사가 아니라 전국 진료권별로 병상을 배분하는 병상총량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게 입증됐다”며 “지역별로 균등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가 조정 등을 통해 중소병원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고 권역별 응급의료센터 확충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