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국제경기 침체와 과잉 생산,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등 삼중고를 겪고 있어서 경북 경제의 한 축이 붕괴 될 위기에 놓인 것이다. 이 때문에 국내 최대 철강생산기지인 포항철강산업단지의 공장 야적장에는 녹슨 제품들이 쌓여 있다.

포항 철강공단 등록 348개 공장 가운데 12%인 43곳이 이미 휴업했거나 폐업 상태다. 부도로 경매 절차를 밟고 있는 곳도 허다하다. 특히 4단지의 경우 전체 91개 업체 중 무려 23개 업체가 문을 닫거나 휴업에 들어갔다. 철강공단의 고용 동향을 보면 포항의 위기를 실감할 수 있다. 지난 2013년 공단의 고용인력이 1만6227명이던 것이 2015년 1만5369명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만4502명으로 4년 새 1600여 명이나 공단을 떠났다. 단순하게 1600여 명으로 생각해선 안되는 것이 이들 대부분이 가정을 갖고 있는 가장이라는 사실이다. 이를 감안하면 수천 명이 일자리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다.

철강공단 위축과 함께 포항 인구는 2015년 52만4634명에서 2016년 52만230명, 지난해 51만9216명으로 줄었다. 3년 새 5400여 명이 준 것이다. 공단 인력 감소와 상관관계가 입증된 셈이다. 이처럼 주력산업인 철강경기 부진으로 경북 제1도시 포항의 경제가 심각한 지경을 맞고 있는 것이다.

포항철강산업단지 산업동향을 살펴보면 철강산업 현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포항철강산업단지는 지난 2012년 17조7000억 원에 이르던 생산액이 지난 2016년 11조6674억 원으로 떨어졌으며, 수출 역시 지난 2014년 43억9916만 달러에서 2016년 26억1187달러로 40%가량 줄었다.

철강공단업계 관계자들은 “당장 올해도 문제지만 내년에는 이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 올 것이라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어 철강산업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한국 철강산업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업체 스스로 노력도 요구되지만 정부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과 대응방안을 찾아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 같은 철강산업 현실을 인식하고 지난 2017년 대통령 선거 당시 ‘포항 철강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을 지역 공약으로 제시했다. 취임 이후 산업통상자원부와 경북도가 주축이 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이 강화 방안에 방향이 나와 있다. 우선 철강제품과 관련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고부가 철강재·경량소재 조기개발을 위한 핵심기술개발·철강전문인력 양성, 활용방안을 찾기로 한 것이다. 설비분야에서는 친환경 제철공법 개발과 스마트제철소 구축, 철강 신시장 개척 방안이 제시됐다.

이처럼 선언적 방안은 내놨지만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지금까지 구체적 실행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포스코를 제외한 포항철강산업단지 기업들이 고사 위기에 내몰리고, 포항 경기도 나락의 길을 걷고 있다. 철강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정부적인 지원과 정책대안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