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한-러 지방협력 포럼 전문가 세션
항만·북극항로·농업·수산 분야 틈새 사업 발굴 가능성 시사

제1회 한-러지방협력포럼 두번째 날인 8일 오전 포스텍 국제관 국제회의장에서 나인브릿지기반(9개다리) 지방정부간 경제협력 확대 방안논의와 극동러시아 유망 진출 프로젝트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세션이 열렸다. 사진오른쪽부터 캄차드카주 부총리 마리나 수보타, 사하공화국 총리 블라디미르 솔로도프, 현대엔지니어링 부장 문병철, 부산대병원 부원장 이호석, 극동수출투자청 청장 레오니드 페트호프, 연해주 부주지사 콘스탄틴 복다넨코 인천대학교 성원용 교수 이은성 기자 sky@kyongbuk.com
8일 오후 포스코국제관 국제회의장에 10명의 전문가들이 모여 실질적인 한·러 지자체 간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전문가 세션에서 알렉산드르 라트킨 국립 블라디보스톡 경제서비스대학 학장은 러시아 극동지역 고속발전 모델 성과에 대해 설명했다.

라트킨 학장은 “러시아는 지난 2012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APEC 정상회담 이후 극동의 사회 및 경제적 잠재력을 회복하고 빠르게 발휘하기 위한 새로운 발전모델을 구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26개의 연방법, 2개의 대통령령 등 법적 기반을 형성했다”고 말했다.

또, “이를 통해 낮은 과세율, 빠른 행정처리 속도, 선도개발구역 및 낮은 기본비용 등을 통해 투자여건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해 연해주와 대한민국의 교역량은 지난 2016년과 비교했을 때 11억6100만 달러(24%)의 증가를 기록한 점을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현재 연해주에서 유입된 8억4500만 달러 이상의 외국인 투자액 중 한국은 6900만 달러(8%)를 투자했고 무역, 농업, 생산, 교통 등의 분야에서 50여개의 한국 기업이 활발히 활동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극복해야 할 과제 또한 존재한다.

라트킨 학장은 “선도개발구역과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경제특별구역은 본래 외국인 투자와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정됐으나 그 목적이 충분히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며 “극동지역에 투자되는 금액 중 외국인이 투자하는 비율은 7%에 불과해 이번 한·러 지방협력포럼을 계기로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웅태 에너지국제협력센터장은 서로 상행할 수 있는 한국과 러시아의 에너지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정 센터장은 현재까지 양국 간 오랜 협력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 사업이 마련되지 않은 점을 꼬집었다.

그는 “한·러의 높은 에너지 협력 잠재력에 비해 실질적인 에너지 교역 및 투자 비중이 낮다”며 “한국의 원유, LNG, 유연탄 전체 수입량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못 미친다”고 말했다.

또 “현재 한국 에너지 기업이 러시아 자원개발 사업의 운영사로 직접 참여한 적은 아직 없었다”고 덧붙였다.

정 센터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포럼을 계기로 양국 정부와 에너지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투자 성공사례를 만드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펼쳐주길 주문했다.

끝으로 그는 “이번 협업을 통해 우수한 성공사례를 만들어 양측간 신뢰를 증대시키고 협력분야를 점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가이 네벨스코이 국립해양대 총장은 북극 항로 개척을 통한 북동아시아 경제 발전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네벨스코이 총장은 지속적인 쇄빙선 건조 기술 발전으로 아직 개척되지 않은 북극의 러시아 해상 운송 고속항로를 적극 활용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 북극항로청이 오는 2020년까지 건조될 원자력 발전 쇄빙선인 Arctika LK-60과 LIDER LK-120을 소개하며 2020년과 2025년까지 물동량을 각각 4600만t과 8000만t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삼았다고 밝혔다.

네벨스코이 총장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최단 북극 항로가 개척될 시 화물 선박이 러시아에서 핀란드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4일 남짓”이라며 “다년간의 연구와 노력이 수반되겠지만 해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발표를 진행한 지용태 코레일 남북대륙철도사업단 처장은 한·러 철도연결을 통한 동반 경제발전 가능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발표에서 지 처장은 “남북관계 재정립 및 미래 경제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구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반도를 동과 서로 나눠 경상도와 러시아를 잇는 ‘환동해 경제벨트’를, 전라도에서 중국으로 이어지는 ‘환서해 경제벨트’ 구성을 추진하길 주문했다.

‘환동해 경제벨트’를 통해 러시아 극동지역과 교통망을 연결해 에너지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환서해 경제벨트’로 중국의 제조업과 물류업을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지 처장은 전망했다.

그는 끝으로 “한국과 러시아의 철도를 잇기 위해선 남북철도 연결이 필수”라며 “개선된 남북관계를 통해 지난 2016년 중단된 경원선 복원을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