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사망원인 조사…사회적 경제비용 10조원에 달해

국내에서 술로 인한 질환으로 숨진 사람이 하루 평균 13명이며 음주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 또한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알코올성 간 질환 등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는 모두 4809명으로 조사됐다.

하루 평균 13명이 술 때문에 목숨을 잃은 셈이다.

또, 한국 국민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소주 115병이었으며 139만명의 알코올중독자가 있다고 집계됐다.

지난해 성인의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 음주량이 7잔(여자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술을 마시는 비율)은 14.2%로 지난해보다 0.4%p 증가했다.

특히, 20대 여성의 경우 10명 중 1명이 고위험 음주자로 나타났다.

청소년 음주 문제도 빠질 수 없다.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한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결과, 청소년의 첫 음주연령은 평균 13.3세로 조사됐고 현재 음주자(최근 30일 동안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는 16.9%에 달했다.

또, 음주 청소년들의 2명 중 1명(52.5%)은 위험음주자(최근 30일 동안 1회 음주량이 소주 5잔 이상)였다.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지난 2013년 기준 9조4524억원으로 흡연(7조1258억원), 비만(6조7695억원)보다 많았고, 이는 해마다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음주는 사회 안전에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전체 교통사고 중에서 음주 운전으로 인한 비율은 9.0%(1만9517건)였고, 전체 사상자 중에서 10.3%(3만3803명)를 차지한다.

또, 대검찰청의 2017년 통계를 보면, 살인과 강도, 강간 등 강력 흉악범죄의 30% 이상(1만121명)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했으며 자살·자해 손상 환자의 42.0%도 음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민국의 알코올 사용장애 유병률 또한 13.9%로 WHO(세계보건기구) 194개 회원국 가운데 4위에 올랐다.

이보다 높은 나라는 3개국(헝가리 21.2%,러시아 20.9%,벨라루스 18.8%)뿐 이었다.

특히 남성의 알코올 사용 장애 유병률은 21.2%로 5명 중 1명은 과도한 음주로 인한 정신적,육체적,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음주 폐해예방의 달인 11월을 맞아 공공기관과 의료기관, 아동·청소년 시설을 금주구역으로 지정하는 등을 통한 사회적 폐해 방지에 나섰다.

또 TV광고가 음주를 유도하고 미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오는 2020년부터는 주류광고에서 술을 직접 마시는 장면과 술을 마시는 소리가 금지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