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대식 영남대 도시공학과 교수
최근 트램(tram)의 도입이 국내외 많은 도시들에서 검토되고 있다. 일명 노면전차로 불리는 트램은 도로에 레일을 매립해 그 위를 운행하는 철도로, 건설비용은 1㎞당 200억 원 정도의 수준이다. 중전철인 지하철의 1/6, 경전철의 1/3 수준이고, 운영비용도 지하철의 25% 수준으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전기로 운행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교통약자의 승하차에 편리한 대중교통수단으로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기존 도로를 활용함으로써 가로변 상권 활성화와 도심재생의 효과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도 한다.

이러한 장점으로 말미암아 트램은 현재 전 세계 400여 개 도시에서 운영 중이며, 유럽 도시를 중심으로 도입이 확대돼 왔다. 아직 국내에 도입해 운영되는 곳은 없지만, 최근 여러 도시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올해 3월에는 트램 3법인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개정이 완료되면서 트램 설치를 위한 법적 기반도 마련됐다.

대구시의 경우 민선 7기 시장 공약의 하나로 순환선 트램 도입이 제시됐고, 현재 노선 발굴과 타당성 검토를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이 진행 중이다. 트램의 경우 많은 장점이 있지만, 여전히 찬반양론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예컨대 기존 도로에 트램이 설치되므로 도로용량이 줄어드는 문제도 있고, 기존 차량 위주의 신호체계에서 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있다. 그리고 다른 대중교통수단에 비해 과연 비용 대비 효과 혹은 편익이 더 클 것인가에 관한 근본적인 의문도 있다.

궁극적으로 트램의 도입을 위해서는 트램에 대한 기술적인 검토, 트램의 경제성이 있는 노선과 구간 검토는 물론이고, 도심재생·도심활성화 등과 같은 도시의 미래 비전 및 도시계획적 차원의 검토도 필수적이다. 트램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많은 해외도시들의 경우 트램을 단순히 대중교통체계 정비의 차원뿐만 아니라 도심활성화의 차원에서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추진한 결과 시민들과 방문객들의 만족도가 증가된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최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국가 R&D 연구과제 실증화 사업’의 일환으로 실증이 가능하고 연구종료 후 상용 운영이 가능한 노선을 대상으로 ‘무가선 저상 트램 실증노선 선정 공모’에 나서면서 국내 많은 도시들에서 트램 도입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번 실증노선 공모의 경우 국내 도입사례가 없는 트램의 전국적인 도입기반을 마련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번 공모사업의 구체적 내용을 보면 110억 원 국비 정액지원이고, 상용운영이 끝나면 차량 1대를 회수하는데 차량 비용이 35억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 지원되는 국비는 75억 정도 수준이다. 만약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도시철도 사업으로 추진하게 되면 총사업비의 60%를 국비로 지원받게 되는데, 도시철도 건설사업이 수천억 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수 있음을 감안하면 지원규모 차이가 너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트램 실증노선 공모에 대구시가 참여하는 것은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

트램의 도입과 건설을 위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대구의 미래 여건을 종합적으로 충분히 검토한 후에 트램의 도입 여부, 노선과 구간 등에 대해 세부적인 결정을 하는 것이며, 아울러 추진방향이 결정되면 버스업계, 택시업계, 도시철도, 승용차 이용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이해 상충과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론화 과정도 거쳐야 한다. 눈앞에 보이는 작은 이익보다 대구의 백년대계를 생각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 바로 지금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