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답설야중거 부수호란행 금일아행적 수작후인정: 눈 덮인 벌판을 걸어갈 때 발걸음 하나라도 어지럽히지 말라. 오늘 내가 가는 길은 뒷사람의 이정표가 된다)’ 백범 김구 선생이 어려운 결단을 내릴 때 마다 되새긴 서산대사의 선시(仙詩)다.

1948년 3월 21일 중앙청회의실은 긴장이 감돌았다. 장덕수 암살사건에 대한 미국 군율(軍律)위원회의 공개재판이 열렸다. 성조기가 걸린 공판정에 나온 백범은 종일 심문을 받았다. 백범은 공판정 출두 전날 짤막한 담화문을 발표했다.

“내가 이번에 미 군정 법정에 출두하는 것은 나를 미국 대통령 트루먼씨의 명의로 불렀으므로 국제 예의를 존중하기 위해서 나가는 것이지 내가 증인이 될 만한 사실이나 자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가는 것은 결코 아니다. 나 김구가 장덕수 사건에 관련이 있다는 것처럼 발표된 데 대해서는 나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다. 그것은 그렇게 발표한 그 사람의 모략이며 따라서 책임은 그쪽 사람들에게 있는 것이다”

그로부터 사흘 뒤 두 번째 출정 심문이 시작되자 검사에게 언성을 높였다. “내가 여기에 나온 것은 국제 예의를 지키기 위해서인데 애국자로 자인하는 나를 죄인같이 심문하므로 나는 이후로 대답을 못하겠소. 만약 나를 죄인으로 인정할 바에는 체포장을 내리시오” 일갈한 뒤 “사가살불가욕(士可殺不可辱)”을 외쳤다. 이 말은 “선비를 죽일지언정 욕을 보이지 않는 법”이란 뜻을 가진 말로 ‘예기’에 실려 있다.

“흙투성이 허물을 벗고 매미가 빠져나온 듯한 삶이었다. 혼탁한 세상에서 빠져 나온 듯 티끌 하나 묻히지 않고 살아간 사람이다” 사마천의 ‘사기’에서 굴원에 대한 평가다. 간신의 참소로 호남성 상수라는 강 근처로 귀양 간 굴원은 불충한 자로 낙인찍힌 치욕을 참지 못하고 유서 같은 시를 남기고 강물에 투신했다. “어찌 맑고 깨끗한 몸으로 더러운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차라리 흐르는 상수에 몸을 던져 물고기 뱃속에 장사를 지낼지언정…”

‘사가살불가욕’이 얼마나 사무쳤으면 이재수 전 기무사령관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까. 참으로 안타까운 장군의 죽음이다. 생목숨까지 앗아가는 적폐수사 광풍은 언제쯤 끝이 날까.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